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욥기 내러티브에 나타난 폭력 메커니즘과 저항 담론 연구

이용수 37

영문명
A Study on Violence Mechanisms and Resistance Discourses against Violence in Job’s Narratives
발행기관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저자명
김상기
간행물 정보
『신학사상』201집(2023년 여름호), 155~192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욥기에 나타난 욥의 고통을 내재적 죄와 형벌의 관점이 아니라, 외재적 폭력의 관점에서 탐색한다. 이른바 신, 사탄, 그리고 친구들이라는 삼중의 관계망에서 이루어진 폭력 메커니즘의 작동 방식을 통해 드러나는 폭력의 실체를 분석했다. 욥기 내러티브에서 나타난 폭력은 이상의 세 주체에 의해 세 단계의 폭력 메커니즘을 따라 진행된다. 첫째, 폭력의 예비적 혹은 동기적 단계로서의 신의 폭력이다. 이 단계에서 신은 폭력의 최종 결정자이며, 은밀한 승인자이며, 그리고 장막 뒤로 물러나 모든 상황을 지켜보는 전능한 구경꾼이다. 둘째, 폭력의 물리적 실행 단계로서의 사탄의 폭력이다. 여기서 사탄은 최고 권력자에게 폭력 실행의 위임을 받고 광범위한 폭력을 현실 세계에서 수행하는 폭력 대행자다. 셋째, 폭력의 사후 처리 단계로서의 친구들의 폭력이다. 마지막 단계에서 친구들은 욥이 처한 고통에 대하여 인과응보 신학이라는 상징폭력적 해석학을 통하여 폭력을 정당화하고 영속화하려는 자들이다. 세 주체의 폭력은 구조적, 간접적, 객관적, 상징적 폭력의 메커니즘 속에 있다. 그러나 욥기는 욥이 이들의 폭력 메커니즘을 간파하고 있고 이를 문제 삼고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그는 처음부터 자신이 처한 고통을 폭력으로 인지한다. 그는 자신이 당한 피해 사실을 폭로하고, 자신의 무죄를 변증하고, 나아가 폭력의 결정권자를 고발하고 대면을 요구한다. 폭력 메커니즘의 관점에서 볼 때, 욥은 고통의 수동적 인내자가 아니다. 그는 폭력의 모든 과정을 꿰뚫어 보고 있는 폭력 통찰자며, 자신에게 가해진 폭력의 실체를 노출시키고 문제 삼고자 하는 폭력 폭로자며, 나아가 폭력 가해자를 향해 시시비비를 가리려는 폭력 해결자다. 따라서 욥기가 보여주는 폭력 메커니즘과 저항 담론은 폭력의 구조적 은밀성과 다양한 형태 앞에서 고통받는 폭력 피해자들에게 폭력 인지 감수성과 폭력 저항 의지를 불어넣을 수 있는 위대한 고전적 서사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Job’s suffering from the perspective of external violence rather than internal sin and punishment. It analyzes the true nature of violence through the triple network of God, Satan, and Friends. Violence in Job’s narratives proceeds in three stages signified by the three subjects above. First, there is violence by God at the preliminary or motivational stage. At this stage, God is the final decision-maker of violence, the secret approver, and the omnipotent onlooker who watches all from behind the curtain. Secondly, there is violence by Satan at the stage of physical implementation. At this stage, Satan is an agent of violence that is commissioned by the highest authority to carry out comprehensive violence in the real world. Finally, there is violence by Friends in the post-violence stage. At this last stage, Friends try to justify and perpetuate violence by applying a symbolic violent hermeneutics called retributive justice theology to Job’s pain. The violence of the three subjects can be labelled indirect, objective, and symbolic violence. But Job’s narratives show that he detects the three violence mechanisms and finds them problematic. From the beginning, he recognizes his pain as violence. He names the damage he has suffered, demonstrates his innocence, accuses the decision-maker of the violence and asks for a meeting with him. From the perspective of violence, Job is not a passive endurer of pain. He has insights into violence that help him to see through the entire process of violence. He exposes the true nature of the violence inflicted on him and raises questions about it. He further resolves the tension in his experience of violence by deciding what is right and wrong and judging his assailant. These findings thus suggest that Job’s experiences of and resistance discourses instill sensitivity to violence and help victims to recognize and resist violence in its diverse form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폭력 메커니즘 분석을 위한 방법론
Ⅲ. 욥에게 가해진 폭력 메커니즘
Ⅳ. 욥의 저항 담론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기. (2023).욥기 내러티브에 나타난 폭력 메커니즘과 저항 담론 연구. 신학사상, (), 155-192

MLA

김상기. "욥기 내러티브에 나타난 폭력 메커니즘과 저항 담론 연구." 신학사상, (2023): 155-1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