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莊子』를 통한 도가적 관용론 구성에 대한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Constructing the Daoistic Theory of Toleration from Zhuangzi
발행기관
한국인간과자연학회
저자명
박준웅
간행물 정보
『인간과자연』제4권 제1호, 71~1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관용은 특정한 대상을 향한 반대를 전제로 한다. 하지만, 관용은 단순한 반대의 행위에 머물지 않는다. 관용은 관용의 대상에 대한 반대를 유지하면서, 이에 더해 관용의 대상을 향한 반대가 어떠한 형태로든 실현되는 것을 다시금 반대한다. 관용이라는 행위의 특수성은 관용의 대상을 향한 두 가지 형태의 반대가 동시에 실천된다는 데에 있다. 즉, 첫 번째 형태의 반대인 관용의 대상의 행동이나 이념 등을 자신의 행동이나 이념 등으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미에서의 반대와, 두 번째 형태의 반대인 관용의 대상을 향한 반대가 실현되어 관용의 대상을 제한하는 것을 거부하는 반대가 동시에 실천되는 행위가 관용인 것이다. 논자는 첫 번째 반대의 속성으로 행위자의 숙고와 자율성에 주목하고, 두 번째 반대의 속성으로 첫 번째 반대에 대한 의존성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 논자는 이를 관용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형식적 요소로 간주하며 이 두 가지 반대를 각각 숙고된 자율적 반대와 의존적 반대가 부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논자가 관용의 특수성을 대변하는 요소로 주장하는 이 두 가지 형태의 반대를 장자의 저작인 『莊子』에서 추적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논자는 『莊子』 등장하는 세 가지 이야기를 사례로 그 안에 숙고된 자율적 반대와 의존적 반대가 발견되는지를 검토해보았고, 그 결과 검토한 사례에서 관용의 핵심적인 요소인 두 가지 형태의 반대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논자는 『莊子』가 전개하는 도가 철학을 관용적인 철학으로 간주할 일차적인 계기가 마련되었다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논자는 『莊子』의 사례를 검토하는 데에 사용한 방법, 즉 특정한 이론체계 안에서 관용의 특수한 형식적 요소의 유무를 추적하는 방법을 특정 이론이 관용을 허용하는지를 파악하는 일차적인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oleration presupposes denial towards a object of toleration. However, toleration is not limited to a mere act of denial. Toleration, while maintaining the act of denial, adds an additional denial of any form of realization of the initial act of denial towards the object of toleration. The peculiarity of the act of toleration lies in the simultaneous practice of these two forms of denials. In other words, the the first form of denial, in the sense that you cannot accept the behavior or ideology of the object of toleration as your own, and the second form of denial, the denial toward the realization of the initial denial, compose the act of tol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denials of these two forms, which the author argues as an element representing the specificity of toleration, in Zhuangzi's work 『莊子』. To this end, the author examines four stories in 『莊子』 as examples. Through this, the author concludes that in 『莊子』, there are ample evidences showing the Daiosm in 『莊子』 should be regarded as a philosophical system qualifying itself as a tolerant. In addition, the author suggests to use the method of tracking the presence of specific elements of toleration within a specific theoretical system as a primary means of identifying whether a specific theory is tolerant.

목차

1. 들어가며
2. 관용의 조건
3. 『莊子』의 관용적 요소들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웅. (2023).『莊子』를 통한 도가적 관용론 구성에 대한 연구. 인간과자연, 4 (1), 71-100

MLA

박준웅. "『莊子』를 통한 도가적 관용론 구성에 대한 연구." 인간과자연, 4.1(2023): 71-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