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사회의 젠더갈등과 감정동학

이용수 118

영문명
Gender Conflict and Emotional Dynamics in Korean Society: Focusing on Discourses of Abolishing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the 2022 Presidential Election
발행기관
지역사회학회
저자명
이혜수
간행물 정보
『지역사회학』제24권 제1호, 115~13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사회의 갈등 양상은 지역갈등에서 세대갈등, 나아가 젠더갈등으로 지형이 변화해 왔다. 본 논문은 그 중에서도 ‘감정의 갈등화’로 치닫는 대표적 현상으로서의 젠더갈등에 주목하고, 젠더갈등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20-30대 여성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감정동학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2022년 20대 대통령 대선은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지형 변화를 보여주었던 사례로서, 이와 관련해 젠더갈등이 촉발된 계기였던 ‘여성가족부 폐지 담론’을 중심으로 네트노그라피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표적인 20-30대 여성 온라인 커뮤니티인 더쿠를 8개월간 참여관찰하고 이를 빅터 터너의 사회적 드라마 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그 결과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을 시작으로 온라인 커뮤니티 내의 사회적 드라마는 시간적 흐름에 따라 위반-위기-교정-재통합 및 분열의 4단계 구조를 보여주고 있었다. 그 가운데 내부 구성원들은 리미널리티와 코뮤니타스 과정을 거쳐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동질감을 공유하며, 그들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있는 팬덤 전략을 통해 정치적 의견을 개진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영문 초록

Conflict patterns in Korean society have changed from regional conflicts to generational conflicts and even gender conflicts. Among them, this paper tried to pay attention to gender conflict as a representative phenomenon leading to 'emotional conflict', and to observe the exercise, resistance, and reconstruction of ideology-instrumental violence in the process.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n 2022 was an example of a new change in the topography of conflict in Korean society, and I executed a netography analysis focusing on the “Discourse on Abolition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hich triggered gender conflict. Theqoo, a representative online community for young women was participated and observed for 8 months and analyzed through Victor Turner's social drama model.As a result, starting with the pledge to abolish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social dramas in the online community showed a four-step structure of Breach-Crisis-Redress-Reintegration or Schism over time. Among them, internal members appeared to express political opinions through fandom strategies that can reconstruct their identity, share a sense of homogeneity, and reveal their identity through the Liminality and Communitas processes.

목차

I. 한국사회의 새로운 갈등지형과 대선
II. 이론 및 연구방법
III. 사회적 드라마의 관점에서 읽는 20대 대선과 여성 커뮤니티
IV. 결론: 이념적 폭력과 팬덤적 저항 공동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혜수. (2023).한국사회의 젠더갈등과 감정동학. 지역사회학, 24 (1), 115-136

MLA

이혜수. "한국사회의 젠더갈등과 감정동학." 지역사회학, 24.1(2023): 115-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