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죄수사에서 얼굴인식기술 활용의 수사기법에 대한 검토
이용수 105
- 영문명
- Review on Facial Recognition Technology in Criminal Investigation: Focus on Discussions in Germany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김현우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6권 제1호, 83~10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얼굴인식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지능형 비디오 감시체계는 현실의 형상을 그대로 재현하는 데 국한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입력되어 있는 다른 정보와 자동적으로 비교하는 과정을 거쳐 경찰 등 수사기관이 특정한 목적으로 수집해 둔 정보를 얼굴인식을 위하여 활용한다. 여기에서 얼굴인식기술 활용 수사기법의 문제점으로 제기되는 감시사회에 대한 우려, 프라이버시에 대한 위협, 목적 외의 사용에 대한 우려, 얼굴인식기술의 미완성 등은 단순히 특정 법률의 몇몇 조문을 신설하거나 개정하는 차원을 뛰어넘어 지능형 비디오 감시를 통한 ‘감시사회’의 일상화로부터 개인의 기본권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 것인지를 심도 있게 논의해 나갈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system equipped with face recognition function is limited to reproducing the shape of reality as it i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collected for a specific purpose by an investigative agency such as the police is used for face recognition through the process of automatically comparing with other information that has already been entered. Here, it is raised as a problem of the investigative technique using face recognition technology. In other words, concerns about surveillance society, threat to privacy, concerns about use other than purpose, and incompleteness of face recognition technology. These problems go beyond simply establishing or revising some provisions of a specific law, a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in depth how to protect the basic rights of individuals from the routine of 'surveillance society' through intelligent video surveillance.
목차
Ⅰ. 서론
Ⅱ. 독일 경찰의 얼굴인식기술 활용
Ⅲ. 독일의 입법례와 논의상황
Ⅳ. 얼굴인식기술 활용 수사기법의 문제점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러방지법상 테러대비 및 대응체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범죄수사에서 얼굴인식기술 활용의 수사기법에 대한 검토
- 군집드론 테러 대비방안 고찰
- The Effects of Cybercrime Investigation Agents’ Career Choice and Career Satisfaction on Educational Implementation
- 재난 및 안전관리에 관한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에 관한 연구
- 무인항공기를 활용한 화생방 테러 공격의 위협 분석
- 육군조직 구성원의 외적동기가 군사보안에 미치는 영향
- 테러 예방을 위한 가상현실 범죄예방 분야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양극화와 테러가능성
- 폭력적 극단주의 예방을 위한 협력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