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테러전투원의 현황 및 시사점 분석
이용수 5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Reality and Implications of Foreign Terrorist Fighters
- 발행기관
- 한국테러학회
- 저자명
- 김은기
- 간행물 정보
- 『한국테러학회보』제15권 제4호, 41~6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10년간 국제사회는 120개 국가에서 42,000명 이상의 외국인 테러전투원(FTFs)들이 본국을 떠나 다에시(Da’esh)로 합류하려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 테러전투원(FTFs)들의 이동이나 유입 동기를 보면, 사회적 또는 정치적으로 소외된 배경을 가지고 있는 젊은 연령대에 경제적으로 불우한 남성들의 비율이 다수이지만, 부유한 배경과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들도 많이 있다. 외국인 테러전투원(FTFs)들의 급진화 과정은 지극히 사적인 영역에서 은밀하게 진행되어 사전에 탐지하기가 어렵지만, 이들이 추후 본국으로 귀환하였을 때 형사사법적 대응이나 처리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주요 안보선진국가에서도 거시적 차원에서 사전에 테러단체조직을 지정하고, 관련 행위에 대해 엄격히 처벌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에는 서구 사회가 겪고 있는 테러공격의 부작용과 현상이 상대적으로 부족하기에 외국인 테러전투원(FTFs)을 비롯한 테러단체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와 통제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ver the past decade,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seen more than 42,000 Foreign Terrorist Fighters (FTFs) from 120 countries leaving their home countries to join Da’esh. Looking at the motives for the migration or influx of Foreign Terrorist Fighters (FTFs), the propor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males in the younger age group from socially or politically marginalized backgrounds is high. However, there are also many people with wealthy backgrounds and high levels of education. The process of radicalization of Foreign Terrorist Fighters (FTFs) is carried out covertly in a very private area, making it difficult to detect in advance. However, various problems may arise in criminal justice response or processing when they return to their home country later. Even security advanced countries designate terrorist organizations in advance at a macro level and strictly punish related acts. However, in the case of Korea, the side effects and symptoms of terrorist attacks that Western society is experiencing are relatively lacking, so intensive management and control of Foreign Terrorist Fighters (FTFs) and other terrorist groups are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외국인 테러전투원의 의미
Ⅲ. 외국인 테러전투원의 실태
Ⅳ. 주요 국가의 외국인 테러전투원 대책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주요 국가의 대테러 정보활동 비교 연구
- 외국인에 의한 범죄증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基层法院案件繁简分流制度研究
- 해외감청 제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과 개선을 위한 전제적 시론
-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외국인 테러전투원의 현황 및 시사점 분석
- 이슬람국가의 칼리프 국가재건운동과 테러리즘
- 레이저를 활용한 대테러 안티드론 전략 연구
- 독일의 통신비밀제한법상 통신제한조치에 대한 검토
- 청소년 비행과 사이버 테러리즘의 관계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
- 경제안보동맹과 한미사이버안보강화
- 테러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 신냉전과 국가테러리즘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