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학적 소양 (Mathematical Literacy)에 대하여
이용수 2
- 영문명
- Reconsidering Mathematical Literacy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주미경
- 간행물 정보
- 『수학교육학연구』제12권 2호, 163~18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5.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mathematical literacy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na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communicated in university level mathematics classes. The analysis of classroom discourse has revealed three different kinds of mathematical knowledge circulated in mathematics class, which include 'factual mathematics', 'mathematical fantasy', and 'mathematical savior faire.' The fact that a mathematics teacher delivers diverse categories of mathematics knowledge suggests that the mathematical literacy is not confin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ical competence. More specifically, the kinds of mathematical knowledge identified above tell that mathematical literacy developed through learning mathematics reflects the cultural norms and values of doing mathematics. This means that mathematical literacy is not merely involve with technical competence but rather with cultural competence. In this regard, this paper highlights the meaning of mathematical literacy as a cultural identity, which has been under-estimat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mathematics education dominated by technocracy of the twentieth century. In particular, the notion of mathematical savior faire implies that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ultimately deals with a system of cultural meaning. Hence, through learning mathematics, a learner gets transformed as a whole person according to the cultural norms and values. In this regard, it is concluded that mathematical literacy can be considered as a necessary condition to become a competent member of mathematics com-munity sharing cultural norms of doing mathematics as well as a repertoire of mathematical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수학적 소양’으로의 민족지학적 접근
Ⅲ. 수학 교실에서 전달되는 지식의 범주
Ⅳ. 결론: 수학 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으로서의 수학적 소양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