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과 독일의 중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을 통한 함수 내용 비교
이용수 10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Function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and Germany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허난 안은경 고호경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13권 제2호, 323~34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1 교육과정 개정 시안연구에서는 중학교 수준의 함수는 현실 세계의 상황을 이해하는 도구로서 초점을 맞추고, 중학교에서의 함수를 토대로 고등학교 함수에서 여러 영역을 통합하는 아이디어로서의 대응의 관점에서 정의된 형식화된 함수 개념으로 확장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에 국제적 표준 교육과정과도 발맞추기 위하여 다른 나라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본고에서는 독일에서의 함수 도입과 교수학습 측면에서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하여 독일의 여러 학교 형태 중 우리나라의 교육제도와 비슷한 학교 형태인 게잠트슐레(Gesamtschule, 종합학교)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우리나라의 교과서와 비교 분석 하였다. 함수영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교과서의 구조적인 부분인 체제와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독일 교과서에서는 함수 개념 도입과 내용 전개 방식, 그래프의 지도 방식 등에서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는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개정 교육 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에 참고가 될 만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study of 2011 education course revision proposal suggests that middle school level function shall be taught with emphasis on its role as tool to understand the situations of actual world, and the concept shall be extended in high school into formularized setting that integrate various fields based on middle school function. In revising education course, the circumstances of other countries are desired to be considered to keep abreast of international standard education courses. In this study, the textbooks of Gesamtschule a general school a school type similar to the education system in Korea among various school forms of Germany were selected to look into the characteristics of function introduction and teaching & learning in Germany, and the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of Korea.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system and contents with emphasis on function area, German textbooks differed from the 7th revised education course on the introduction of function concept, contents development method and method of instructing on graph etc. Such differences are anticipated to serve as data for reference in the development of revised education courses and textbooks in Korea.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독일의 학교 교육제도 및 수학과 교육과정
Ⅲ. 한국과 독일의 교과서 비교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