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李東垣 內外傷辨 관련 논의들에 나타난 內外 관계성에 대한 고찰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from Discussions on Li Dongyuan's Differenti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Damage
- 발행기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
- 저자명
- 은석민
- 간행물 정보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36권 2호, 61~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본 연구는 李東垣의 內傷 개념의 연원과 아울러 그의 內外傷辨으로부터 파생된 논의들에 대한 검토를 통해 그의 내상 개념 이 지니는 중층적 함의를 살펴보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Methods: 이동원의 저작들보다는 후대에 그의 영향을 받은 의가들의 저작에 반영된 내용들을 통해 內傷, 外傷 및 內傷, 外感 간의 관계성을 고찰한다.
Results: 이동원 이후의 內外傷辨 관련 논의들을 참고하여 볼 때 그의 내상 개념은 공간적인 의미와 病因적인 의미를 함께 지니는 중층적인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內傷, 外傷의 구분과 內傷, 外感의 구분은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 이동원의 내상 개념은 內因뿐만 아니라 風寒의 外感적 요인까지도 개입된 것으로서, 이는 朱丹溪 이후로 傷寒學說 내로 수용되면서 상한의 개념에도 변화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내상과 외감 간의 교차에 대한 논의는 그 각각의 개념의 확장을 가져온 면이 있고 때로는 그 개념 간의 혼란을 가져온 면도 있었다고 할 수 있다.
Conclusions: 내상의 개념은 이동원으로 인해 폭넓게 받아들여지면서 그의 內傷學說을 중심으로 관련 논의들이 진행된 감이 있지만 그 개념은 본래부터 중층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성격의 논의들을 파생시켰다고 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이동원의 논의를 넘어 외상 내지는 외감과의 관계성 면에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lti-layered meanings of Li Dongyuan's concept of 'internal damage' through examining the origins of the 'internal damage' concept together with discussions derived from his 'Differenti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Damage'.
Methods : Rather than Li's original works, those done by later doctors who were influenced by Li were thoroughly examined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nal and external damage, and external contraction.
Results : Based on discussions related to the 'differentiation of internal and external damage' following Li, his concept of 'internal damage' could be understood as multi-layered, as it contains both spatial as well as pathogenic meaning. Therefore the meaning behind categorizations of internal and external damage, and internal damage and external contraction could be different. Li's 'internal damage' concept includes not only internal pathogen but elements of external contraction of wind and cold, which seems to have been integrated into the 'Cold Damage Theory' after Zhu Danxi, seemingly having changed the concept of cold damage. Therefore, discussions on the crossing between internal damage and external contraction have on one hand expanded the boundaries of each concept, while on the other hand, have caused confusion between the two at times.
Conclusions : The concept of 'internal damage' has been widely accepted due to Li Dongyuan, on which related discussions have been centered. However, the concept was originally multi-layered, naturally leading to various discussions.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damage' with 'external damage' or 'external contraction', beyond the theories of Li.
목차
1. 서론
2. 李東垣의 內傷 개념의 연원에 대한 검토
3. 李東垣 이후의 內外傷辨 관련 논의들에 나타난 內外 관계성
4. 고찰
5.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한의학분야 NEW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38권 1호 목차
- 人迎氣口脉診에 있어 比較하는 診脉 部位의 上下 및 左右의 變化에 關한 考察 - 衝脉과 陽明 및 人迎氣口脉診法의 相關性
- ≪素問·陰陽離合論≫을 통한 同名經絡의 침구활용 근거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