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용석 한선영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2권 제3호, 537~56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학 학업성취는 수년간의 누적된 학습의 결과로서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쳐 추적 조사한 종단자료를 통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의 2013년도(중학교 1학년)부터 2017년(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내적요인(자아개념, 자기통제, 삶의 만족에 대한 자기평가)과 외적요인(학교풍토, 자녀에 대한 보호자의 관심, 보호자의 학습조력)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양상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학생들이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수학 학업성취도가 유사하게 변화는 패턴의 그룹으로 나눈 결과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2학년에는 소폭 하향하는 1그룹(615명, 28.5%)과 중학교 1학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2그룹(1543명, 71.5%)의 학생들로 나눌 수 있었다. 그룹별 내적요인의 종단적 변화패턴을 살펴본 결과 1·2그룹 학생들의 내적요인 중 자아개념과 삶의 만족에 대한 자기평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통제는 소폭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적요인 중 학교풍토는 2그룹보다 1그룹이 소폭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자의 학습조력은 두 그룹 모두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 대한 보호자의 관심은 1그룹은 소폭 감소하고 2그룹은 중1 때의 값이 고등학교 2학년 때까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수학 학업성취도 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두 그룹 모두 자기통제와 학교풍토가 수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MLGM)을 시행한 결과 1그룹과 2그룹의 자기통제 절편(초기치)은 수학 학업성취도 절편(초기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그룹의 학교풍토의 절편(초기치)은 수학 학업성취도 절편(초기치)에 정적인 영향, 수학 학업성취도 2차 계수 값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풍토의 기울기는 수학 학업성취도 2차 계수 값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Academic achievement is not a temporary phenomenon that occurred at a specific point in time, but is a result of years of learning, so it needs to be analyzed through longitudinal data that is repeatedly track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is study utilized longitudinal data from 2013 (junior high school year) to 2017 (second year high school)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bal Study. In addition, the effects of internal factors (self-concept, self-control, self-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and external factors (school climate, guardian)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ere examined. Using mixed growth modeling, mathematics academic performance is divided into groups of patterns with similar changes. By using GMM (Growth Hybrid Modeling), th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was similarly divided into groups. Also, by using the Latent growth model and Piecewise growth model, the change patterns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were analyzed for each group. As a result of analysis, students in the 1st group (28.5%) and the 2nd group (71.5%), whose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slightly lowered from the 1st year of high school, and the school climate, which are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interests of their children ar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initial value of the first grade remained constant until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with little change, and the school climate of the parents decreased slightly as the grade increased.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Random Slope Model, self-control has an effect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tudents in Groups 1 and 2 have self-control intercepts on the mathematics achievement. It has been shown to have a direct effec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수학≫ 논문 작성 지침
- 초등학교 두 자리 수 이상의 곱셈 지도 내용 분석
- 초등학생의 비형식적 통계적 추리 개발을 위한 자료 모델링 과제 및 수업의 설계
- 학습 위계에 따른 중학교 수학 평가‧보정 모델 적용 연구
- 초등 수학 교과서의 수학 용어 정의에 사용된 표현의 비유 관점에서의 분석
- Spinoza의 Ethica에 나타난 수학 내용 분석 및 그에 따른 교과서의 ‘삼각형의 세 각의 합’ 내용 고찰
- 함수의 증가와 감소 수업에서 드러난 커머그니티브 갈등의 양상과 학습에서의 역할
- 컴퓨터 기반 평가에서 수학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특징 분석
- 2015개정교육과정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 관한 수학 교과서 및 익힘책 분석
- 잠재적 수학 학습 포기 학생의 가정 자원 및 학교 배경 분석
- 외국의 중등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통계 영역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 지식의 구조로서 변환기하를 다루기 위한 성취기준 방향 탐색
- 수학적 논의 수업의 설계와 실행에서 교사의 주목하기
- 학습자의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 교수학적 상황론에 따른 직관적 확률 개념 지도
- 학교수학 제22권 제3호 목차
- 안구 운동 추적을 활용한 중학교 수학 영재의 도형추론능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