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의 주체성과 아름다움

이용수 34

영문명
Women’s subjectivity and beauty:The role of Christian women in the World and church through theological reflection on Hwang Sun-mi’s fairy tale “The Hen Out of tha Madang(Yard)”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저자명
김정용
간행물 정보
『신학과철학』제43호, 225~25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황선미의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사계절, 2011)에 대한 분석과 신학적 성찰을 통해 세상과 교회에서 그리스도인 여성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필자는 이 동화가 오늘의 여성이 처한 현실을 숙고할 수 있는 텍스트로서 손색이 없다고 여기며, 무엇보다도 여성의 주체성과 아름다움의 관점에서 해석하여 그리스도인 여성의 역할을 찾고자 한다. 철망으로 사방이 비좁게 가로막힌 곳에서 암탉들이 집단적으로 사육되는 거대한 양계장은 자본의 지배를 받는 만큼 철두철미하게 자본의 질서와 논리에 따라 통치되는 곳이다. 자본의 논리가 지배하는 철망 닭장으로부터 벗어나는 길은 병이 들거나 알을 낳지 못하는 폐계가 되어 효용가치가 다 했을 때라야 비로소 열리는 데, 그것은 곧 죽음이다. ‘잎싹’이 ‘마당’으로 나와 ‘알을 품어서 병아리의 탄생을 보고 싶다는 소망’을 품게 된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그러나 잎싹이 찾은 마당의 세계는 자본의 논리가 내면화된 곳이고 배타적이고 폐쇄적인 권력체계에 순응하고 속박될 때 비로소 안전이 보장되는 곳이다. 철망 닭장과 마당의 세계가 결코 줄 수 없는 자유를 얻기 위해 잎싹은 목숨을 노리는 사냥꾼 족제비의 위험조차 아랑곳하지 않고 마침내 마당을 떠난다. 그리고 잎싹은 심지어 사냥꾼 족제비의 가엾은 아기들을 위한 먹이로 자신의 생명을 기꺼이 내어놓음으로서 주체성과 아름다움을 증언한다. ‘마당을 나온 암탉’에 등장하는 잎싹의 주체성과 아름다움을 찾는 여정에 대한 해석을 통하여 필자는 세상과 교회 속 그리스도인 여성의 주체성과 아름다움의 진면목은 생명에 대한 연민과 돌봄 그리고 예언자적 자유를 살아가는 존재로서 자신을 표명할 때 드러날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 of Christian women in the world and church through analysis and theological reflection on Hwang Sun-mi's fairy tale “The Hen Out of the Madang (Yard)” (Four Seasons, 2011). I think this fairy tale is a good text to contemplate the reality of today's women, and above all, I would like to find the role of a Christian woman by interpreting it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subjectivity and beauty. The huge poultry farm, where hens are collectively raised in a place narrowly blocked on all sides by wire mesh, is a place where they are thoroughly governed by the order and logic of capital as they are governed by capital. The way out of the cage dominated by the logic of capital opens only when the value of utility is exhausted due to the disease or the inability to lay eggs, which is death. That's why leaf sprouts' came out as a ‘madang (yard)’ and embraced the ‘wish to hold eggs and see the birth of chicks’. However, the world of the yard found by leaf sprouts is where the logic of capital is internalized, and safety is guaranteed only when it conforms to and binds to an exclusive and closed power system. In order to gain freedom that the world of wire mesh enclosing hens and yard can never give, the leaf sprout finally leave the yard, regardless of the risk of a hunter weasel seeking his life. And leaf sprouts even testify to their subjectivity and beauty by willing to give their lives as food for poor babies of hunter weasels.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journey to find the identity and beauty of the leaf sprout in “The Hen Out of the Madang (yard),” I want to reveal that the true nature of the world and the Christian woman in the church can be revealed when expressing oneself as a creature living compassion, care, and prophetic freedom.

목차

1. 들어가는 말
2.『마당을 나온 암탉』을 통해 본 여성의 주체성과 아름다움
3. ‘잎싹’의 시선에서 본 그리스도인 여성의 주체성과 역할
4.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용. (2023).여성의 주체성과 아름다움. 신학과철학, (), 225-252

MLA

김정용. "여성의 주체성과 아름다움." 신학과철학, (2023): 225-2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