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시유역 물순환 분석체계 개선연구
이용수 78
- 영문명
- The Improvement of Water Cycle Analysis System in Urban Watershed: Focused on Hyoja-dong in Seoul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전주영 전상미 장용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2, 79~9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로 홍수, 국지성호우, 태풍 등의 재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과거 피해가 빈번히 발생하는치수 위주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최근 도시물순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물순환 관리에 대한 인식이증가하고 있다. 물순환을 관리하는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정량적인 물관리 목표를 설정과 정확한물순환 적용지점을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시유역에서 토지피복도만을활용한 물순환 분석의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중첩지도 분석을 실시하여 토지피복도로 분석하지 못한 지점을 건물면적과 건물정보가 통합된 분석을 실시하였다. LID 시설물의 효과 검토를 위해 모델을 활용하여서울특별시 효자동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재현기간 5년, 10년 강우지속기간 10분에서첨두홍수량은 28%, 30% 저감, 유출체적은 18%, 14% 저감, 침수면적은 92%, 93%가 저감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Recently, disasters such as floods, localized heavy rains, and typhoons have occurred every year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past, studies focused on flood control, where damage frequently occurred, but recently, as interest in urban water circulation has increased, awareness of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has increased. The most important thing to manage the water cycle is to set quantitative water management goals and the exact water cycle application point. Therefore,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the water cycle analysis using only the land cover map in the existing urban watershed, an overlapping map analysis was conducted, and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building area and building information was conducted for the points where the land cover map was not analyzed.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LID facilities, the model was used to analyze Hyoja-dong, Seoul. It was analyzed that peak flood volume was reduced by 28% and 30%, the Return period 5 years, 10 years Rain duration 10min runoff volume was reduced by 18% and 14%, and the flooded area was reduced by 92% and 93%.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SG 투자의 수익성과 리스크 분석
-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주도성이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
- 위기경보 유형분류에 따른 재난대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도시유역 물순환 분석체계 개선연구
- 생명과학기술 위기관리를 위한 규제정책 고찰
- LID 적용가능 위치 판단을 위한 중첩지도 분석
-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정책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사방댐에 작용하는 토석류 충격력 산정식의 적용성 검토
- [삭제]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
-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
- 사법부와 정치위기
- 용암동굴 사례를 통한 제주특별자치도 도로 관리 조례 개선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2 목차
- 국가핵심기반 기능연속성체계의 최대허용중단기간 산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