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기경보 유형분류에 따른 재난대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Study of the Construction of a Disaster Response Model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Crisis Aler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민금영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2,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재난이 발생하거나 또는 재난에 대한 징후가 식별되면 위기경보가 발령된다. 위기경보가 발령된 사례를살펴보면, 위기상황 변화에 따라 관심단계부터 심각단계까지 순차적으로 발령(COVID19), 관심단계를유지하다가 순간적으로 피해가 확산되어 주의-심각단계가 발령(아프리카 돼지열병), 재난이 발생하자마자 대규모 피해로 심각단계가 발령(제천 스포츠화재) 등 그 유형은 다양하다. 위기경보는 위기상황을관리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재난이 가지는 위기상황에 따라 대응방식이 달라져야 한다. 본 연구는 위기상황을 위기징후 식별 가능성, 연계 피해 발생 가능성, 피해 범위(지역, 구역)의 확대가능성을 기준으로위기경보 판단 큐브(Cube)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현재 법·제도상 41종 재난 유형을 8가지로 분류함으로써, 그 특성에 맞는 위기경보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재난은 위기상황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피해가 확산될 수도 있고, 감소될 수도 있다. 이에 재난 유형별 위기상황이 반영된 위기경보는 재난대응을 위한 단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A crisis alert is issued if a disaster occurs or a symptom of a disaster is detected. To examine the cases in which crisis alerts were issued, there are various types, such as sequential issues from the level “Attention” through the level of “Seriou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crisis(COVID-19), the issue of the level “Caution-Serious” with the spread of damage after maintaining the level “Attention” (African Swine Fever), and the issue of the level “Serious” due to large-scale damage as soon as a disaster occurs (Fire). The crisis alert is the starting point for the control of crises, and the response method should differ depending on the crisis of the disaster. This study developed a crisis warning judgment cube based on the possibility of identifying crisis symptoms, the possibility of linked damage, an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scope of damage. In addition, by classifying 41 types of disasters into 8 types according to the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a crisis alert operation pla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was presented. The damage of disasters may increase or decrease depending on how the crises are controll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위기경보 모형 구축
Ⅴ.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SG 투자의 수익성과 리스크 분석
-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주도성이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
- 위기경보 유형분류에 따른 재난대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도시유역 물순환 분석체계 개선연구
- 생명과학기술 위기관리를 위한 규제정책 고찰
- LID 적용가능 위치 판단을 위한 중첩지도 분석
-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정책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사방댐에 작용하는 토석류 충격력 산정식의 적용성 검토
- [삭제]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
-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
- 사법부와 정치위기
- 용암동굴 사례를 통한 제주특별자치도 도로 관리 조례 개선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2 목차
- 국가핵심기반 기능연속성체계의 최대허용중단기간 산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