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용암동굴 사례를 통한 제주특별자치도 도로 관리 조례 개선 연구
이용수 16
-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Road Management Ordinance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rough the Case of Lava Cave Management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진환 백용 이종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2, 55~6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화산 폭발로 형성된 제주도에는 용암동굴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제주도 전역에서 관찰되는 용암동굴상부에는 도로 및 주거시설 등이 위치하는 경우가 있다. 제주도의 개발에 의하여 용암동굴 위의 도로및 주거시설의 수는 증가할 것이다. 용암동굴 위에 분포하는 도로 등 시설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여러 가지 연구는 진행되고 있으나 용암동굴과 그 주변 시설의 안전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행정적인제도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용암동굴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제주도에서 안전한 건설공사 및주요 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해 필요한 제도마련을 위해 제주도 조례에 대한 개정 및 신규 제정을 제안하였다. 현재 운영 중인 천연동굴 보존 및 관리 등에 관한 조례의 일부 내용에 대한 개정과 천연동굴상부지반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제주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반함몰 가능성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re are many lava caves on Jeju Island that were created by volcanic eruptions. Roads and residential facilities have been built above these lava caves, and the number of such structures is expected to increase with the development of Jeju Island.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assess the safety of facilities, such as roads, built above lava caves, but currently there is no administrative system to support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lava caves and their surrounding facilities. This study proposes revising and creating Jeju Island ordinances that are necessary for the saf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major facilities on the island, where many lava caves are located. By revising the current ordinance on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caves and enacting an ordinance on the safety management of the upper ground of natural caves, it is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ground subsidence in Jeju Island can be reduced.
목차
Ⅰ. 서론
Ⅱ. 제주특별자치도 천연동굴 현황 및 관리제도
Ⅲ. 제주도 용암동굴과 도로/주거지역 교차구간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SG 투자의 수익성과 리스크 분석
-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주도성이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
- 위기경보 유형분류에 따른 재난대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도시유역 물순환 분석체계 개선연구
- 생명과학기술 위기관리를 위한 규제정책 고찰
- LID 적용가능 위치 판단을 위한 중첩지도 분석
-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정책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사방댐에 작용하는 토석류 충격력 산정식의 적용성 검토
- [삭제]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
-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
- 사법부와 정치위기
- 용암동굴 사례를 통한 제주특별자치도 도로 관리 조례 개선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2 목차
- 국가핵심기반 기능연속성체계의 최대허용중단기간 산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