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명과학기술 위기관리를 위한 규제정책 고찰
이용수 121
- 영문명
- Regulatory Policies for Life Science and Technology Crisis Management: The Comparison of Cases between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현승효 김다영 이민규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19 No.2, 41~5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생명윤리 법제는 진자의 떨림같이 크게 요동친 경험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과생명윤리 정책을 입안하는 데 있어서 잠깐의 분위기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충분한 검토를 통해 크게흔들리지 않는 기준점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우리나라의 제도는 다수의 행위자의 참여가 보장되어 왔으나, 그 정책에 이르는 과정과 내용에서 합리성과 전문성은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다. 일본은 특유의관료제적 성격으로 인하여 정책의 결정과정에 다수의 참여가 보장되거나 의사결정이 빠른 것은 아니지만, 전문가들의 참여를 통하여 전문성 있는 구체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하다. 우리나라 기구들이 일본과같은 수준의 충분한 회의 내용 및 자료를 제공한다면, 생명과학 연구자들이 연구할 수 있는 범위를예측가능하게 함으로써 일탈을 막을 것이다. 또한, 시민 사회의 전문성을 높여 활동을 지속하면서 감시를계속하게 하여, 제도의 변화가 생명윤리를 훼손하는 방향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우리나라의생명윤리와 안전의 보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Korea, bioethics legislation has experienced great fluctuations like a pendulum swinging. After Professor Hwang's research ethics issue,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in Korea lost its vitality. In this study, we insist that Korea needs a reference point that is not greatly shaken. We review the establishment of Korea and Japan's life science and ethics-related laws and the operation of their organizations. Then, we compar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Korea and Japan. Finally, we will propose Korea's strategy to improve bioscience and bioethics systems. In Japan, it is possible to make specific decisions with expertise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If Korean institutions provide sufficient meeting contents and data at the same level as Japan, deviations will be prevented by making the range of research available to life science researchers predictable.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guarantee of Korea's bioethics and safety by increasing the professionalism of civil society to continue monitoring while continuing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우리나라와 일본의 규제정책 비교
Ⅳ. 우리나라 생명과학기술 위기관리를 위한 논의 생명과학기술 정책 감시를 위한 제언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SG 투자의 수익성과 리스크 분석
- 정신간호사의 인권감수성과 주도성이 정신장애인의 옹호태도와 옹호개입에 미치는 영향
- 위기경보 유형분류에 따른 재난대응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 도시유역 물순환 분석체계 개선연구
- 생명과학기술 위기관리를 위한 규제정책 고찰
- LID 적용가능 위치 판단을 위한 중첩지도 분석
-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정책 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 사방댐에 작용하는 토석류 충격력 산정식의 적용성 검토
- [삭제]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
- 다목적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최적 설계 연구
- 사법부와 정치위기
- 용암동굴 사례를 통한 제주특별자치도 도로 관리 조례 개선 연구
- 한국위기관리논집 Vol.19 No.2 목차
- 국가핵심기반 기능연속성체계의 최대허용중단기간 산정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교정복지연구 제87호 목차
- 수형자들의 특성불안과 상태불안이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조절효과
- 사회적 낙인감이 6호 처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