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袁宏道의 ‘性靈’說과 그 小品에 대한 적용
이용수 16
-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黃智裕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46집, 265~28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文研究了袁宏道“性靈”說的源流、“性靈”說的內涵及其理論意義、袁宏道小品對性靈說的適用(新:文學曆史發展观、眞:作家性情論、趣:藝術特征論)。看性靈說的內涵,可以說袁宏道“性靈”說的文學史上的意義如下:第一,在文學復古思潮籠罩文壇期間,雖時有作家對復古派的種種論調和刻意古範的行爲深爲不滿,或主張重本色,或強調求創新。第二,袁宏道的“性靈”說,把人這一創作主體的重要作用提到了前所未有的高度。對人的主體因素在文學中的地位,人們曆來雖有較淸醒的認識,但如袁宏道那樣把抒寫“性靈”作爲創作的唯一宗旨來強調,則是空前絶後的。第三,袁宏道的“性靈”說一定程度上變革了傳統的文學觀念,爲市民文學立說。這分明是一個新、舊文學觀念的深刻分歧。中郎的小品是極具風格的,我把其小品槪括爲“新”、“眞”、“趣”爲基本的風格要素來深入欣賞他的作品。這三點雖不免過於簡單化,但不乏爲其性靈說的最顯明特色。新,是“性靈”在中郎小品中第一風格要素,在這裏,“時運”指時代的治亂、盛衰,“質文”指內容、形式,所以全文的意思是隨著時代的交替推移,文章的內容形式也在不斷替代變化。中郎關於“新”的槪念和它以他的遊記爲中心怎樣體現了。第一,市民意識。第二,翻新出奇的表現。第三,敝與過的觀點。眞,是袁宏道價値觀、審美觀的基礎,也是中郎小品文基本風格要素之一。總體看來,中郎對“眞”的闡述幾表現是這樣的。第一,個性的獨特性。第二,傳達作家心聲。趣,是中郎“性靈”說的重要內容,也是構成中郎小品文藝術風格與美學風格的要素之一。中郎關於“趣”的槪念和它在他的作品裏面如何體現了。其一,“逸趣”,其二,“諧趣”,其三,“俚趣”。中郎小品在文學史上算不上是最爲優絶,但世人論小品文的典範作家,仍然樂意推擧袁宏道。事實上,在文學史上袁宏道的名字總是與小品文一特殊的文體名稱連在一起的。盡管袁宏道的“性靈”說本身存在著這樣那樣的缺陷,但它在掃除籠罩文壇百年之久的文學復古陰雲方面,在爲作家進行自由創作方面,都起過特殊而重要的曆史作用。中郎小品文一方面有力地印證了自己的主張,另一方面又爲作家創作提供了典範。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性靈’說의 원류
Ⅲ. 袁宏道 ‘性靈’說의 의미와 의의
Ⅳ. 袁宏道 ‘性靈’說의 小品 창작에 대한 적용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彙報 외
- 韩国学生汉语语音学习过程中的母语负迁移现象分析
- 唐代 茶政 考察
- 중국어의 ‘諧音’과 그 번역에 관한 小考
- 중국문인에 대한 농암 김창협의 비평론 특징 연구
- 《七殺碑》의 英雄形象 考察
- 古代漢語 ‘得’字 語義․語法 分析
- ‘祭’와 ‘祀’로 본 古代人의 祭祀樣式 탐구
- 중국 전통 민속 문화에 대한 이해가 고급 중국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
- 《逸詩》문자 考釋
- 『天主实义』와 『聖敎要旨』의 補儒論 비교 연구
- 现代汉语基本词汇“古今”“方普”兼通度考察
- 由《三国演义》投降行为看罗贯中的投降观
- <蔣興哥重會珍珠衫>에 보이는 明代 客商의 愛情倫理觀에 관한 고찰
- 부산지역 중국어 기초회화 교육방법의 성격
- 상하이 도시문화 연구
- 《현대한어사전》4자성어 고찰
- 元代 茶文化 연구
- 韓國에서의 中國戱曲의 敎學方案
- 교양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태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중어중문학과 한자 교육의 새로운 시도
- 遇不遇 개념의 역사적 논의 과정에 대한 소고
- 现代汉语“A前B後”的多角度分析
- 개정 7차 한문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에 나타난 어학적 서술 비교 분석
- 袁宏道의 ‘性靈’說과 그 小品에 대한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