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어중문학과 한자 교육의 새로운 시도
이용수 3
- 영문명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전긍 초팽염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46집, 77~9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汉字是汉语的承载体,汉字教育也是中语中文学科的教育课程中不可忽视的一个部分。比起欧美学生,很多韩国学生已经掌握了相当多的汉字,这是非常优越的先决条件。為了探求怎么样更有趣地、有效地教好汉字,使学生们更快、更好地掌握漢字,我们做了一个新的尝试: 就是先通過對中國歷史和文化以及古籍資料的分析,來讲解某一个部首的象征意義,然后進一步结合与此部首相关的一系列汉字的含義,最后引导学生理解這種含義與部首位置之間的關系。本文以“羊”部首为例,首先通過對在古代中國人的現實世界和精神世界中“羊”這種動物的存在形態進行分析,揭示古人所賦予“羊”的各種文化象征意義,并以此推測“羊”部首在“祥”,“善”,“義”,“美”等字中的含義,最后总结這種含義與部首位置之間的關系。通過對各種資料的考察,我們發現羊這種動物不僅是上古中國先民重要的飼養及祭祀牲畜之一,同時在被馴養的過程中,逐漸被賦予極具靈性和禮儀的文化意蘊. 因此包含羊部首的“祥”字,“善”,“義”,“美”等字也都由于羊的這種神圣和神秘而被賦予各種抽象而積極的語義。這些語義與中國歷史上第一部以部首分類的字典《說文解字》中對包含羊部首的幾個常用字的解釋有所出入,一方面是因爲作者許慎受時代局限只能根據小篆字體來解析字義,另一方面對羊這種動物在上古先民頭腦中的神聖地位無法深入把握。本文試圖通過揭示羊身上更深刻的象征意義,進一步探究了羊部首在“祥”,“善”,“義”,“美”等字中的含義,以及這種含義與部首位置之間的關系。通過對這種文化上的歷史根源以及中國人在文字創造方面的思維特征的分析,我們不但可以使中语中文学科的學生更加快速地掌握漢字,而且不會限于機械地記憶漢字,而是在領略中國文化的同時,趣味性地學習漢字。相信我们这种新的尝试,对中语中文学科的汉字教育能起到积极的效果,并使得中语中文学科语学教育的三个方面--音韵学、语法学、文字学能够齐头并进,得到平衡的发展。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며
Ⅱ. 羊에 대한 자형적ㆍ의미적 특징
Ⅲ. 허신에 의한 祥의 재 고찰
Ⅳ. 善, 義, 美와 羊 부수의 관계
Ⅴ. 나오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彙報 외
- 韩国学生汉语语音学习过程中的母语负迁移现象分析
- 唐代 茶政 考察
- 중국어의 ‘諧音’과 그 번역에 관한 小考
- 중국문인에 대한 농암 김창협의 비평론 특징 연구
- 《七殺碑》의 英雄形象 考察
- 古代漢語 ‘得’字 語義․語法 分析
- ‘祭’와 ‘祀’로 본 古代人의 祭祀樣式 탐구
- 중국 전통 민속 문화에 대한 이해가 고급 중국어 독해에 미치는 영향
- 《逸詩》문자 考釋
- 『天主实义』와 『聖敎要旨』의 補儒論 비교 연구
- 现代汉语基本词汇“古今”“方普”兼通度考察
- 由《三国演义》投降行为看罗贯中的投降观
- <蔣興哥重會珍珠衫>에 보이는 明代 客商의 愛情倫理觀에 관한 고찰
- 부산지역 중국어 기초회화 교육방법의 성격
- 상하이 도시문화 연구
- 《현대한어사전》4자성어 고찰
- 元代 茶文化 연구
- 韓國에서의 中國戱曲의 敎學方案
- 교양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동기, 태도,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중어중문학과 한자 교육의 새로운 시도
- 遇不遇 개념의 역사적 논의 과정에 대한 소고
- 现代汉语“A前B後”的多角度分析
- 개정 7차 한문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에 나타난 어학적 서술 비교 분석
- 袁宏道의 ‘性靈’說과 그 小品에 대한 적용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