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다르의 <비브르 사 비>(1962)에 나타난 영화적 얼굴 연구

이용수 15

영문명
Étude sur les visages cinématographiques dans Vivre sa vie (1962): au regard du concept de photogénie de Jean Epstein
발행기관
한국프랑스문화학회
저자명
이수원
간행물 정보
『프랑스문화연구』제56집, 79~10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3.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비브르 사 비>에서 이미지와 사운드의 실험에 의해 탄생하는 영화적 얼굴들을 장 엡슈타인의 포토제니론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먼저 무성시대 잔 다르크의 클로즈업 신과 언어철학자의 대화 신을 통해 포토제니적 이미지의 기본 조건인 정신성, 운동성과 그와 대립되는 대사의 작용을 분석하였다. 주인공의 얼굴 숏들에서는 ‘비결정적’ 의미의 생성을 음악에 의한 시적 효과와 모더니즘적 소격효과의 측면에서 살펴봤다. 카메라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얼굴을 서사의 구속으로부터 순간적으로 해방시키되, 음악과는 달리 서정보다는 포토제니와의 긴장관계를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포의 『타원형 초상화』 인용은 얼굴의 미장센에 있어서 초상개념을 추가하고 감독의 실험적 내레이션에 의해 배우의 ‘현전성’을 환기시킴으로써, 인물의 서사로부터 배우의 초상으로 영화를 전환시키는데 결정적이었다. 이 글의 의의는 포토제니론이 유성시대 영화의 얼굴에 적용될 때의 유효성 및 한계, 특히 모더니즘과 만날 때의 긴장관계를 구체적인 예로써 살펴봤다는 데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Cet article examine la naissance des visages ≪cinématographiques≫ dans Vivre sa vie sous l’angle de la photogénie de Jean Epstein. D’abord ont été examinés les éléments fondamentaux de la photogénie de l’image, dont la ≪moralité≫ et la ≪mobilité≫ dans deux scènes symboliques qui s’opposent : celle avec les gros plans de Jeanne d’Arc(film muet de Dreyer) et celle avec les visages parlants du philosophe du langage Brice Parain. Leurs visages représentent respectivement le silence et la parole, celle-ci étant considérée par Epstein comme obstacle au ≪cinématographique≫, autre expression de la photogénie. Ensuite, l’analyse a été menée sur l’émergence de ≪l’indéfinissable≫ au travers des visages de Nana, la protagoniste, avec l’introduction de la musique et l’effet de distanciation. La musique qui ajoute du lyrisme aux images et le dispositif du regard à la caméra, l’élément visuel puissant et récurrent, libèrent les visages de la domination du narratif et du langage. Pourtant, avec le regard à la caméra, ce qui s’ajoute aux visages semble moins de l’ordre de l’ineffable moral que de l’ordre de la nature humaine, caractéristique du ≪visage moderne≫. D’autre part, la citation du Portrait ovale de Poe dans le dernier tableau du film a l’effet de transformer l’acte de filmer en celui de peindre chez Godard. C’est l’ajout de l’idée de portrait dans la mise-en-scène des visages de Nana ainsi que l’introduction de la voix narrative du réalisateur lui-même qui favorisent la ≪présence≫ de l’actrice Karina au même titre de son portrait ; la frontière entre le personnage(fiction) et l’actrice(documentaire) s’estompe. Cette étude constituerait un exemple démontrant les rapports de tension entre le concept de photogénie et le modernisme du cinéma, ainsi que les valeurs potentiels de ce concept concernant les films montrant des expérimentations sur les rapports image-son.

목차

1. 들어가며
2. ‘침묵-얼굴’과 ‘대사-얼굴’
3. 모던한 얼굴 : 포토제니와 소격효과
4. 현전성과 영화적 초상
5.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원. (2023).고다르의 <비브르 사 비>(1962)에 나타난 영화적 얼굴 연구. 프랑스문화연구, (), 79-106

MLA

이수원. "고다르의 <비브르 사 비>(1962)에 나타난 영화적 얼굴 연구." 프랑스문화연구, (2023): 79-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