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유아기 부모의 팬데믹 관련 양육 어려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37
- 영문명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ndemic-Related Parental Difficulty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현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1권 제2호, 43~6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기 부모의 팬데믹 관련 양육 어려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 19 스트레스 및 코로나 19와 영유아 부모 관련 문헌을 분석을 통해 구성요인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문헌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구성요인을 도출하고 최종 문항시안을 구성하였다. 최종 문항 시안에 대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SPSS 26.0 및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638명(탐색적 요인분석 293명, 확인적 요인분석 345명)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유아기 부모의 팬데믹 관련 양육 어려움 척도는 자녀 발달에 대한 불안(9문항), 양육 부담의 증가(8문항), 가족 갈등의 증가(6문항), 감염에 대한 불안(6문항), 경제적 어려움(5문항)등 5개 요인의 3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요인분석 결과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개념 신뢰도,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 모두 적합한 요건을 충족하였다. 신뢰도(Cronbach‘ )는 ,947에서 .980까지 나타났으며, 전체 척도의 Cronbach‘ 값은 .983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유아기 부모의 팬데믹 관련 양육 어려움 척도는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andemic-related parental difficulty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PRPDS). To do this, the literature on COVID-19 stress and parents of preschoolers during COVID-19 was analyzed, and related data on the components were collected. Based on collected data, the constituent factors were extracted, and the final draft was constructed. The final draft was developed with the evaluation scale through a verification proces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It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6.0 and AMOS 26.0 program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638 parents of preschoolers who made assessment [293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345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he pandemic-related parental difficulty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 developed in this study was composed of 34 questionnaires of following 5 factors: Anxiety about child development (9 questionnaires), increased parenting burden (8 questionnaires), increased family conflict (6 questions), anxiety about infection (6 questions), and economic difficulties (5 questions).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o be an appropriate model, and the conceptual reliability, convergence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ll satisfied. The reliability (Cronbach’ ) of these factors ranged from .947 to .980, and the total value of Cronbach’s was found to be .983.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andemic-related parental difficulty scale for parents of preschoolers developed in this study is a valid and reliable too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