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회계이익-세무이익 차이의 정보적 의미
이용수 0
- 영문명
- The Information Meanings of Book Income: Tax income Difference: Based on Components of Book Income
- 발행기관
- 한국전산회계학회
- 저자명
- 김은삼 남천현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산회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2009년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105~13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회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회계이익-세무이익 차이(BTD)와 회계정보와의 관련성에 대한 선행연구의 확장으로 BTD와 회계이익 및 그 구성요소간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주로 재량발생액과의 관련성을 검증한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는 BTD는 물론 BTD의 구성요소 그리고 BTD와 유사한 이연법인세대와 회계이익 및 그 구성요소간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검증하였고, 또한 표본의 범위도 현재까지 수집가능한 모든 기업-연도를 포함했다는 측면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실증분석은 2가지 방향에서 실행되었다. 첫째는 표본전체에 대한 두 변수간의 일반적인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이고, 둘째는 표본을 체계적 영역과 비체계적 영역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첫째의 분석결과는 회계이익, 회계이익을 현금/비현금 기준으로 분해한 영업현금흐름 및 발생액, 발생액을 재량/비재량 기준으로 분해한 재량발생액 및 비재량발생액, 그리고 유동/비유동 기준으로 분해한 유동발생액 및 비유동발생액 등 모든 구성요소가 BTD에 대해 유의적인 양의 관련성이 있다. 구성요소 중에는 현금/비현금 분해에서는 발생액이, 재량/비재량 분해에서는 재량발생액이, 유동/비유동 분해에서는 비유동발생액의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크다. 이러한 현상은 일시적 차이와 영구적 차이 중 일시적 차이에서 주로 발생하였고, 이연법인세대에서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의 분석에서는 비체계적 영역이 체계적 영역보다 BTD에 대한 회계 및 그 구성요소의 관련성이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재량발생액이 비재량발생액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첫째의 분석과는 달리 관련성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일시적 차이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나, 영구적 차이에서도 영업현금흐름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다는 점이 다르다. 이연법인세대에서는 유동발생액을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현금/비현금에 분해에서는 재량발생액이, 재량/비재량 분해에서는 재량발생액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첫째의 분석결과는 BTD와 회계이익 및 그 구성요소의 일반적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반하여, 둘째의 분석결과는 경영자가 구사하는 세금비용전략의 수단을 설명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extension of previous studies for relationships between book income-tax income difference(BTD) and accounting informations. While previous studies concentrated on relationships between BTD and discretionary accruals, this paper tests relationships between BTD and accounting income and its various components comprehensively. The sample covers all firms and years that can be collected to present. We test in 2 directions, one is testing general relationships for total sample and the other is testing difference between systematic groups and non-systematic groups. Results of the former is that the relationships of accounting income and its component of cash/non-cash base, its components of discretionary/non-discretionary base, its components of current/non-current base for BTD are all significantly positive. Accrual, discretionary accrual, non-current accrual are more significant than each partner. These situations appeared similar in tests of temporary BTD and deferred tax liability but not in permanent BTD. Results of the latter is that relationships of accounting income and its various components in non-systematic groups a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in systematic groups. But in comparison between components, all components show similar relationships except that discretionary accrual is larger than non-discretionary accrual. These situations appeared similar in tests of temporary BTD, deferred tax liability and especially in permanent BTD. These results of permanent BTD is distinguished form those of the former. While the former results explain general relationships, the latter results explain the means of tax strategy which managers use.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와 연구모형의 설정
Ⅲ. 표본선정 및 실증분석
Ⅳ. 추가분석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조기업의 글로벌 통합원가시스템의 설계와 활용
- 주민정보화 교육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 재량적 차이의 유용성에 관한 실증연구
- 회계 정보 활용을 위한 SOA 추진 전략
- The Simultaneity of Decisions on the Tax and Non-Tax Cost Tradeoff in the Korean Banking Industry
- 회계이익-세무이익 차이의 정보적 의미
- XBRL을 사용한 표준 전자세금계산서의 재구성
- 방송 프로그램별 수익성분석시스템의 설계와 활용
- D&M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을 활용한 기업의 OSS(Open Source Software) 도입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회계학분야 NEW
- 조직의 신뢰관계가 몰입과 만족도를 매개하여 역량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 무형식 학습을 매개하여 기업의 맥락적 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ESG경영이 기업평판, 기업지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