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탐색

이용수 131

영문명
An Analysis Study on School Field Practicum Perceived by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정한호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第84輯, 177~20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학교현장실습의 실태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방안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에 소재한 A 대학 사범학부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실습학교에서의 실습과정, 실습유형, 실습지원체제를 탐색하고 효과적인 중등 학교현장실습의 방안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첫째, 코로나와 같은 비상상황 속에서도 실습 기간은 축소하지 말고 유지해야 한다. 둘째, 실습학교에서는 ‘사전교육-본 실습-사후평가’를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체계적인 실습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셋째, 중등 교원양성기관인 대학에서는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사전실습을 강화해야 한다. 일선 실습학교에서의 학교현장실습이 체계적이지 못하며 초등보다 단기간에 이루어진다는 점을 감안해 볼 때, 대학 자체적으로 실습프로그램 마련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교원양성기관에서의 학교현장실습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field practicum recognized by second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nd to suggest effective directions. Therefore,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t University A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ractice process, practice type, and practice support system in the practice school, and also explored the method of effective secondary school field practicum.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ven in an emergency such as COVID-19, the period of secondary school field practicum should not be reduced, but should be maintained. Second, the practice school should establish a systematic practice plan that organically connects 'preparatory education-main practice-post evaluation'. Third, universities, which are secondary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reinforce their own pre-training. Considering that school field practicum in front-line practice schools is not systematic and takes place in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d operate a practice program on its own. In this study, implications for activating school field practicum in secondar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n a desirable direction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한호. (2022).중등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탐색. 교육문제연구, (), 177-204

MLA

정한호. "중등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학교현장실습에 대한 탐색." 교육문제연구, (2022): 177-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