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사적 명사를 포함한 일본어 명사술어문에 관한 일고찰
이용수 14
- 영문명
- A Study on Japanese Nominal Pr9 edicates Sentences including Verbal Noun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채성식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39輯, 205~2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일본어 명사술어문의 술부에 등장하는 동사적 명사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동사적 명사란 동사에서 유래된 명사를 말하며 의미론적으로는 동사 특유의 동적 사태를 나타낼 수 있으나 구문론적으로는 동사와 달리 격부여능력을 갖지 못하며 격조사와의 공기를 통해서만 격성분으로 기능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어 명사술어문 중에는 술부에 등장하는 동사적 명사가 공기하는 구문요소에 마치 격을 부여하고 있는 것과는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기술한 바와 같이 동사에서 유래된 명사는 품사상 명사이기 때문에 공기하는 구문요소에 격을 부여할 수 없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나 예를 들어 『解決法をお分かりでしょうか」나 「私、修了試験に合格です」와 같이 연용형명사나 한어동사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한어명사가 명사술어문의 술부에 등장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작용의 대상이 조사「を」나 「に」로 표시되는, 일견 구문론적으로는 설명이 불가능한 양상을 보일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문이 성립하는 배경에 동사적 명사의 양면성, 즉 명사로서의 성질과 동사로서의 성질을 겸비한 동사적 명사 고유의 구문론적 특징이 숨어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러한 동사적 명사의 이면성은 단독 사용, 혹은 부사 등의 연용성분과의 공기에 제한이 가해지는 구문론적 제약과 더불어 동사에서 유래된 동사이면서도 동사 고유의 어휘 의미를 계승할 수 없는 등 명사로서의 불완전성에 의한 점이 큼을 밝히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verbal nouns that appear in the predicate of Japanese nominal sentences. Verbal nouns here refer to nouns derived from verbs. Semantically, they can express dynamic events unique to verbs, but syntactically, unlike verbs, they have the ability to assign cases. can function as a case component only through co-occurrence with a case particle. However, in some Japanese nominal sentences, the verbal noun that appears in the predicate behaves as if it were giving a case to co-occurring syntactic elements. As already mentioned, nouns derived from verbs are nouns in terms of parts of speech, so it is well known that cases cannot be assigned to co-occurring syntactic elements. For example, “解決法をお分かりでしょうか” and “私、修了試験に合学です”, despite the fact that nouns derived from contingent nouns or Chinese verbs appear in the predicate of the noun sentence, the target of the action is the particle. At first glance, it presents a syntactically inconceivable aspect of being expressed by “を” and “に”. Therefore, in this research,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unique to verbal nouns, which have both properties as nouns and properties as verbs, lie hidden in the background of such constructions. This kind of duality of verb-like nouns, along with the syntactic contraction that restricts their specification alone and their co-occurrence with adverbs and other adverbs, is a noun derived from a verb. We argues that this is largely due to imperfect autonomy as a noun, such as the inability to inherit lexical meaning.
목차
I. 들어가며
II. 일본어의 동사적 명사에 대하여
III. 동사적 명사를 포함한 일본어 명사술어문의 특징
IV.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40년 전후 일본의 ‘남양(南洋)’ 관련 도서의 간행과그 의도
- 케이팝의 메시지를 통한 일본대학생의 자기인식 변화의 사례 연구
- 국적법 제정(1899) 이전 근대 일본에서의 외국인 귀화 문제
- 동아시아 고전 서사의 트랜스미디어 연구
- 동사적 명사를 포함한 일본어 명사술어문에 관한 일고찰
- NHK 대하드라마 <료마전(龍馬伝)>과 일본의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 인식
- 뉴미디어 시대의 한일 간 문화융합 프로세스에 관한 일고찰
- 요인테러 관점의 일본 아베 前 총리 암살사건 연구
- 『師友志』로 보는 근세 일본 문인 라이 슌스이(頼春水)의 교유망
- 전후 일본 샐러리맨 영화에 나타난 ‘오피스 레이디(OL)’의 일상
- 일본 NHK 드라마 <아쓰히메(篤姫)>에 그려진 여성의 역할
- 다이라노 기요모리(平清盛)의 욕망의 수용형태
- 介護保険制度における「介護の社会化」への考察 -ケアプラン作成の制約を通じて-
- NHK 대하드라마 『료마전(龍馬伝)』의 탈정치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