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문화 인식과 관광체험이 진정성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
- 영문명
- The impact of Cross-cultural and tourist experience on the authenticity and tourist satisfaction: Focus on Chinese tourists in the world cultural heritage of Korea tour destinations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장호 조태영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20권 제3호, 199~22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nvestigates how do cross-cultural and tourist experience of Chinese tourist impact on authenticity and tourist satisfaction.Questionnaire had carry out targeting Chinese tourists in the world cultural heritage of Korea tour destinations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from Sept 1, 2015 to October 31, 2015 and totally 500 copies had distributed. 470 copies were collected back. Remove invalid questionnaires 450 copies were performed using in this study.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as processed through data coding, followed by analysis on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SPSS 20.0 for Windows. Using AMOS 20.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Base on the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firstly, concer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model, analysis results were=560.012(df=188, p<0.001), GFI=0.906, AGFI=0.873, RMR=0.030, NFI=0.926, TLI=0.938, CFI=0.949, RMSEA=0.065, Normed (/df)=2.929. This meant that the model had sufficient validity when comparing with indices used as general evaluation standards. Secondly, Cross-Cultural Awareness has a positive impact on objective, constructive, and existential authenticity. Thirdly, Tourist experi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existential authenticity, objective authenticity and constructive authenticity. Fourthly, Existential authenticity, Objective authenticity and constructive authenticity has a positive impact on tourist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호텔 비정규직이 지각하는 상대적 박탈감이 직업정체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Differences in Consumers’ Preferences for Menu Attributes as They Relate to Consumers’ Level of Food Involvement
- 호텔종사원의 감정노동이 반생산적과업행동(CWB)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팀원이 지각한 조직정치가 조직침묵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개별관광객의 여행정보원천과 소비지출액 간의 관계비교 연구
- 항공사와 여행사 간 관계특성이 장기거래지향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가격차별화 전략과 소비자의 가격공정성 지각에 관한 연구
- 서비스 종사원의 대인커뮤니케이션, 직무만족 및 고객지향성의 관계
- 호텔 연회종사원의 조직사회화전략이 조직사회화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이문화 인식과 관광체험이 진정성 및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승무원의 직무착근도가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호텔 레스토랑 운영요인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지방자치시대 관광정책 평가지표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