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佛敎的 因果應報 관념의 변용과 서사적 전통

이용수 21

영문명
A Study on the Alteration of Karmic Causality and the Narrative Tradition: Focusing on Yuanhun zhi and Mingbao ji
발행기관
한국중국소설학회
저자명
구미진
간행물 정보
『중국소설논총』제68집, 25~4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중국에서 불교의 전래 전후로 인과응보 관념이 변천된 양상을 검토하고, 불교적 인과응보를 주제로 한 작품들의 불교관과 서사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불교적 인과응보 서사의 전통을 가늠해 보고자 한다. 인과응보 관념은 고대 인도에서 유래했으나, 불교가 전래되기 전의 중국에서도 유사한 관념이 존재했다. 선진시대의 인과응보는 치국의 원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원칙으로 제시되었고, 가족주의적 관점에서 독특한 관념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불교 전래 이후에는 업과 윤회설을 통해 합리성을 얻으며 더욱 보편적인 관념이 되었다. 이것은 남북조시대를 중심으로 서사에 주요한 소재가 되면서 불교류 지괴라는 갈래를 이루는 데 일조하기도 한다. 이러한 서사적 전통은 수·당대를 거쳐 더욱 발전적으로 확장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시기에 출현한 작품들 중 顏之推(531-591?)의 《冤魂志》와 唐臨(600- ?)의 《冥報記》에 주목했다. 이들은 당시 널리 전파된 불교적 인과응보의 관점에서 가장 핵심적인 작품들이기 때문이다. 이들은 실질적인 영향 관계가 없음에도 유사한 서사구조의 이야기들이 수록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두 찬자의 공통적 특성에 초점을 맞췄다. 안지추와 당림은 모두 유학자로서의 학문적 소양과 관료로서의 풍부한 경험이 있다. 또한 불교를 신앙했던 집안 출신으로 개인적인 신심도 매우 두터웠다. 다만 이들이 활동했던 시대적 상황과 개인사에는 차이가 있다. 안지추가 난세 속에 북조의 여러 왕조를 전전했던 반면, 당림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당나라 초기에 활동했기 때문이다. 불교사적으로도 남북조시대가 중국불교의 맹아기라면, 수대를 거쳐 당대는 독자적인 중국불교의 전성기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두 작품 간의 여러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찬자가 각각 유사한 작품을 찬술했던 것은 이들의 학문적 소양과 신심에서 말미암은 불교관이 일치하기 때문이다. 특히 유학자이자 오랜 관료생활을 했던 두 찬자는 불교적 관점에서 유교와 도교를 아울러 수용하였다. 이들이 활동했던 시기에는 전대부터 이어진 불교에 대한 비판이 잔존했다. 그러므로 두 찬자는 당대의 배불적 입장과 의혹들을 적극적으로 반박하며 불교를 옹호하였다. 이를 통해 남북조시대부터 이어진 인과응보에 대한 당대인들의 논쟁을 아우르고, 불교적 인과응보의 특성을 분명하게 제시하였다. 이러한 태도는 《원혼지》와 《명보기》 창작에도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무엇보다 두 찬자는 불교적 인과응보를 가장 핵심적 진리로 여겼다. 그러므로 이들이 수집한 이야기들에는 인과응보의 메시지가 분명히 담겨 있다. 특히 살생을 경계하는 惡因惡果를 강조하였다. 또한 불교적 관점에서 전통적 인과응보 관념을 자연스럽게 융합하였다. 남조를 중심으로 번영한 불교류 지괴에서도 불교 사상을 반영한 다양한 서사가 있으나, 이 두 작품은 불교적 인과응보관을 바탕으로 나름의 서사적 전통을 이룬 것이다. 한편 이 같은 인과응보의 궁극적인 가르침은 곧 악행을 멈추고 선행을 실천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서사의 주요한 주제인 불교적 인과응보는 종교적 관점을 초월하여 그 핵심적 의미가 확장되면서 후대의 서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 두 작품은 그 서사적 전통에 있어 선두에 놓였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alteration of the Buddhist karmic causality in China and the Buddhist view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which it is most concentrated. Karmic causality originated in ancient India, but existed in China before Buddhism was introduced. In China, causality existed and was presented as a basic principle for governing the country, and a unique concept was formed from a familial perspective. Thus, causality, which had established itself as a moral norm and belief, became a more rational and universal concept based on the theory of reincarnation after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 focused on Yuanhun zhi by Yan Zhitui at the end of the Northern Period and Mingbao ji by Tanglin at the beginning of the Tang Dynasty, as they are the most important works in terms of Buddhist causality that was widely spread at the time. Yan Zhitui and Tanglin were both Confucian scholars who had extensive experience as officials. Above all, they believed in Buddhism very deeply. Howev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situation of the times when they survived. While Yan Zhitui had to move around the chaotic Northern Dynasties, Tanglin, who was active in the early Tang Dynasty, lived a relatively stable life. However, despite these differences, their views were similar. This is understood in detail through their writings and preface. The two had a very similar sense of the problem and Buddhist views. Particularly, they regarded Buddhist causality as the most important truth.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causality is to efficiently achieve the purpose of popularization, while creating more rich and unique narratives in the Su and Tang periods, including the North and South Dynasties. Therefore, each work includes a clear message to convey the importance of causality. Although various narratives emphasizing Buddhist doctrines and ideas in the prosperous Buddhist community centered in the Southern Dynasty, exist these two works formed an epic system based on an unrivaled view of causality. In particular, their causality is strongly wary of evil deeds. Furthermore, various existing concepts are fused based on Buddhism. Thereby, the two, who had no interaction, were able to achieve similar Buddhist views and narrative characteristics and praise Yuanhun zhi and Mingbao ji. Buddhist views of contemporary intellectuals on Buddhist karmic causality were able to form the tradition of Buddhist karmic causality narrative.

목차

1. 서론
2. 因果應報觀의변용과불교의영향
3. 佛敎的因果應報서사의佛敎觀과그특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미진. (2022).佛敎的 因果應報 관념의 변용과 서사적 전통. 중국소설논총, (), 25-48

MLA

구미진. "佛敎的 因果應報 관념의 변용과 서사적 전통." 중국소설논총, (2022): 25-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