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공지능과 환경법: 인공지능 활용에 수반된 법적 논의

이용수 140

영문명
Eine Studie zur künstlichen Intelligenz im Umweltrecht: Rechtliche Diskussionen im Zusammenhang mit dem Einsatz künstlicher Intelligenz - mit Schwerpunkt auf der Diskussion in Deutschland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김영수
간행물 정보
『법학논문집』第46輯 第3號, 33~6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위 소셜 봇(social bot), 빅 데이터(big data), 공공 사물인터넷(Iot) 같은 단어들은 더이상 우리의 삶에서 낯선 용어가 아니다. 이러한 인공지능의 일상화는 단순히 일상의 삶의 측면을 넘어서서 다양한 경제·사회·학문 등등 다방면에 걸쳐 발견된다. 인공지능기술은 다양한 영역에서 예측 불가능할 정도의 혁신(Transformation)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긍정적·부정적- 파급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디지털화를 통한 환경보호라는 주제는 환경법 영역에서도 중요한 연구과제다. 환경부의 보도자료에 따르면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홍수예보시스템의 도입, 폐기물 소각분야 오염인자를 인공지능을 통해 알아내는 방식들이 실제로 환경 정책 실무에서 추구되고 있다. 환경 분야에서 알고리즘에 기반한 인공지능의 활용은 지금까지 달성되지 않은 환경영향의 정밀성(Präzision)을 주목하게 할 뿐 아니라, 환경과 관련된 시설들의 운영을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구체화하며 자원을 절약하는 것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법집행에 있어서 규범적 청구와 실현(Wirklichkeit)간의 간극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알고리즘에 기반한 결정시스템을 동원하는 것부터 시작하여 인공지능에 의한 결정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트랜드는 지속성과 관련 있고 환경보호와 관련된 규제 또한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인공지능을 활용한 환경보호에 대한 기대와 우려에 관한 법적 측면에서 논의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독일의 학계와 실무에서는 1960년대부터 기계에 의한 행정 내지는 법의 자동화라는 주제가 법학 분야에서 공론화되었으며 이러한 논의가 최근 다양한 개별 法域으로 확대되어 심도 있게 진행되고 있기에, 우리에게 좋은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Künstliche Intelligenz (KI) ist eine Kerntechnologie des 21.Jahrhunderts. Beispielsweise sind Social Bots, Big Data und das öffentliche Internet der Dinge (Iot) keine Fremdwörter mehr in unserem Leben. Diese Alltagsanwendung der künstlichen Intelligenz geht über die Aspekte des täglichen Lebens hinaus und findet sich in verschiedenen Bereichen wie Industrie, Kultur, Gesellschaft und Wissenschaft. Insbesondere ist das Thmea um Künstliche Intelligenz im Umweltrecht sowie -politik erheblich. Dennoch verortet das Umweltrecht solche lernfähig Verfahren bzw. Entscheidungsprozesse durch KI bislang noch nicht explizit in seinem Regulierungssystem. Künstliche Intelligenz kann nicht nur mit bis dato unerreichter Präzision Umweltwirkungen beobachten sowie den Betrieb umweltrelevanter Anlagen effizienter gestalten und Ressource einsparen, sondern auch die Lücke zwischen normativem Anspruch und Wirklichkeit beim Rechtsvollzug verkleinern. Der Trend hin zum Einsatz von algorithmenbasierten Entscheidungssystem bis hin zur KI muss aucu Gegenstand einer nachhaltigkeits- und umweltschutzbezogenen Regulierungsdebatte sein. Bedauerlicherweise hält das klassische Umweltrecht bislang nur wenige explizite normative Vorgaben für algorithmenbasierte Entscheidungsprozess vor. In jüngster Zeit begonnen auf europäischer und deutscher Ebene die Regulierungsbemüngen zum dieses Thema. Um durch die KI den Umweltschutz zu erreichen, kommen sowohl direkte Verhaltenssteuerung durch Kontrolle, Ge-und Verobte als auch indirekte Verhaltenssteuerung als Vorsorgeinstrument in Betracht. Ferner ist die Optimierung des Umweltrechtsvorllzungs durch Algorithmen erforderlich. In dieser Studie befasst sich mit diesen Aspekten und diese Arbeit kann der koreanischen Wissenschaft dienen.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환경보호를 위한 수단으로써 인공지능 인공지능 활용의 明暗
Ⅲ. 인공지능과 환경보호에 관한 독일의 법적 기본 전제논의들
Ⅳ. 환경보호를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서의 규제 수단
V.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수. (2022).인공지능과 환경법: 인공지능 활용에 수반된 법적 논의. 법학논문집, 46 (3), 33-65

MLA

김영수. "인공지능과 환경법: 인공지능 활용에 수반된 법적 논의." 법학논문집, 46.3(2022): 3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