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성격과 변모 과정

이용수 4

영문명
The Character and Change Process of National literature theory in the 1970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홍성식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69호, 263~29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4.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70년대 민족문학론은 근대 기점 논쟁을 기반으로 역사적인 당위와 시대적인 요구의 교착점에서 형성된다. 이것이 순수참여문학론과 리얼리즘론 등의 논의를 토대로 70년대 여러 민주적인 성과와 자각이 적극적으로 결합해 전개된 것이다. 민족문학론은 역사적인 과정에서 거세된 민족 담론을 현실에서 복원하는 과정이다.그런데 70년대 민족문학론은 기존의 논의가 상황에 압박되어 총체적으로 진행되지 못한 점과 그 논의의 과정들이 변화된 조건 속에서 축적되지 못한 한계로 원칙부터 다시 검토해야 했다. 특히 첨예하게 대립한 내용 중 용어의 문제는 단순한 전제가 아닌 총체적인 실체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어떤 명칭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민족문학의 의미와 기능, 과거 문학에 대한 평가가 달라지게 되고, 전망과도 연관되었기 때문이다.보수적인 문학론에서는 주로 1920년대 민족주의문학과 광복 이후 우익의 순수문학의 전통을 강조하며 영구불변한 민족문학을 주장하고, <문지>에서는 세계문학과의 관련성을 장조하며 민족문학의 국수성과 지방성을 근거로 이의 폐지를 강조했다. 그리고 <창비>에서는 구체적인 현실을 기반으로 인간다운 삶의 보장과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실천적 민족문학론을 제출하며 대립하였다.이 과정에서 <창비>측에서는 변화하는 현실적 상황에 따라 시민대신 민중으로 주체의 변화를 모색한다. 이는 시민 혹은 시민사회의 한계를 뚜렷이 인식하면서 드러나는데, 바로 농민과 노동자 등 기층 민중을 주체로 하는 농민문학과 노동자문학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민족문학론에서 중요한 다른 한 축은 제3세계문학에 대한 관심이다. 국수주의나 복고주의에 대한 경계가 아니더라도 민족문학의 지방성 극복은 절실한 과제였다.

영문 초록

National literature theory in the 1970s was formed at the contact point of historical justifiability and temporal needs based on the debate over basic point of the modern times. This was positively developed with many combined democratic results and consciousness in the 1970s based on pure participant literature theory and realism. National literature theory is the process to restore sterilized national discourse. Then, national literature theory in the 1970s had to be reviewed due to limitations that existing discussions were not overall proceeded by circumstantial pressure, and the discussion processes were not accumulated in the changed conditions. Especially, the term issues of keenly confronted contents did not mean a simple premise, but a general substance. Since what denomination was used made different the meaning, assessmen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ssessment of past literature, which was connected with prospects. Conservative literature theory stresses the tradition of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20s and right-wing pure literature, and argues eternal national literature, puts emphasis on relationship with world literature, and its elimination based on the nationalism and locality. And was opposed by submitting practical national literature theory emphasizing human lige guarantee and democracy based on concrete reality. In this process explores subjective change to the public instead of citizens according to changing realistic circumstances. This manifests itself recognizing the limits of citizens and civic society, which brings forth the feasibility of farmers' and laborers' literature making farmers and laborers main people. Another vital axis in national literature theory is the concern about a third world literature. Even not warning of ultranationalism or reactionism, but overcoming locality of national literature was a urgent task.

목차

Ⅰ. 머리말
Ⅱ. 민족문학의 개념 정립 논쟁
Ⅲ. 민족문학론의 지평의 변환
Ⅳ. 마무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성식. (2005).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성격과 변모 과정. 새국어교육, (), 263-295

MLA

홍성식. "1970년대 민족문학론의 성격과 변모 과정." 새국어교육, (2005): 263-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