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목표모호성 인식이 공무원의 업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29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of Goal Ambiguity on the Work Performance: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Abilities and Opportunities
발행기관
한국인사행정학회
저자명
정주현 이수영
간행물 정보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1권 제4호, 31~5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목표모호성 연구가 목표 그 자체에만 초점을 두고, 목표를 구현해야 하는 구성원의 능력이나 기회의 측면은 함께 고려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구성원의 능력(Ability), 동기(Motivation), 기회(Opportunity)의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목표모호성 인식이 업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공무원의 목표모호성 인식은 업무성과 인식에 부(-)의 영향을, 자기개발 노력과 경력개발제도는 업무성과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개발 노력과 경력개발제도는 공무원의 목표모호성 인식이 업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부(-)의 영향을 더 작게 하는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공무원의 업무성과를 높이기 위해 목표의 명료화는 물론 적절한 능력발전 및 기회부여를 제공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며, 특히 개인의 능력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조직적 차원에서 경력 경로를 설계해주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공무원 업무성과의 향상을 위해서는 이를 단기적이고 단편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것이 아니라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시각에서 다양한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HRM),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oal ambiguity, self-development, education and training,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 (CDP) on work performance from the standpoint of Goal-Setting Theory, which explains challenging but attainable goals motivate employees.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evelopment, education and training,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al ambiguity and work perform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should consider all aspects of the ability, motivation and opportunity of employees. According to Goal-Setting Theory, organizational goal ambiguity is related to members’ motivation. However, even if the goals of the organization are clear and the members are well motivated, the motivation effect of clear goals will be reduced if the members’ ability is not accompanied. Despite this fact, existing goal ambiguity studies focused only on the goal itself and not considered the aspects of members’ abilities or opportunities. This study conducte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4,111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general public officials from metropolitan government usingthe survey data “Public Employee Perception Survey 2019”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ion (KIPA).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set work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goal ambigu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bilities and opportunities (self-development, education and training,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goal ambiguity and employees’ abilities and opportunities respectively affected work performance. Second, effective career development program had a moderating effect on goal ambiguity-work performance. It provides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effect of three HRM aspects (ability, motivation, opportunity) on work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의 검토 및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주현,이수영. (2022).목표모호성 인식이 공무원의 업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1 (4), 31-55

MLA

정주현,이수영. "목표모호성 인식이 공무원의 업무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1.4(2022): 3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