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
이용수 102
- 영문명
- A Study on Christian Ecological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최은택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2집, 367~39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의 방향성과 모형을 제시하고, 기독교교육이 사적 영역을 넘어 공적 영역으로 확대되게 하는 데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학적 관점에서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해 어떠한 교육적 대안을 마련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되었다. 현재 4차 산업혁명은 속도와 범위, 그리고 시스템에 있어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충격과 유례없는 변화들을 일으키고 있고, 코로나19는 지난 3여년의 시간동안 우리사회의 일상과 표준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는데, 이로 인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대한 담론이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별히 오늘날 현대사회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문제 가운데 하나는 생태환경 문제인데, 이를 위해 기독교 영성교육의 측면에서 대안을 마련하려고 했다. 그것은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을 진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 오늘날 생태환경 문제의 원인을 세 가지 측면(세계적, 사회적, 개인적)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의 방향으로서 참여적 책임의 영성, 생태중심주의적 영성, 생태적 회심의 영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교육의 모형은 교육 목적과 목표, 교육 방법과 내용, 교육 환경과 평가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수립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교육방법으로 프로젝트기반학습(Project Based Learning)을 활용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를 통해 기독교교육은 개인적 차원을 넘어 교회와 가정, 더 나아가 사회적 차원으로 확대되고, 기독교인들이 의존하고 있는 생태환경 문제를 해결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 directions and a model of Christian ecological spirituality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and to expand Christian education beyond the private to the public.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today's modern societ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COVID-19 has changed daily life and standards over the past few years As a result, the post-corona discourse is becoming more active.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what educational alternatives should be prepared in terms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post-corona era. Especially, one of the urgent problems that modern society needs to solve today is the problem of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I tried to prepare an alternative in perspective of Christian spiritual education. To this end, the causes of today's ecological environmental problems were examined in three perspectives: global, social, and personal. It could be summarized as the problems of neoliberal globalization, anthropocentrism, and ecological ignorance, respectively. To solve this, the direction of Christian ecological spirituality education was presented as the spirituality of participatory responsibility, the spirituality of ecocentrism, and the spirituality of ecological conversion. The specific model of Christian ecological spirituality education was established by presenting educational purposes and goals, educational methods and contents,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valu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생태환경 문제의 원인
Ⅲ.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의 방향성
Ⅳ.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의 모형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간호사를 위한 사례기반학습 및 코티칭 임상실습 교육모형 개발
- 기독교학교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SD)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
- 기독교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 예비 유아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 요인 구성 연구
- 기독교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 박사학위를 소지한 기독교인 시니어의 신앙과 삶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기독교인의 온라인 예배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 연구
- 흥미수준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부모 됨의 의미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
- 유대교 미쉬나 나쉼(Nashim)의 기독교교육을 위한 적용방안
- 어린이 예배에서 ‘이야기식 설교’의 기독교교육적 함의
-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
- 원격 수업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흥미수준에 미치는 영향 탐구
- 20세기 후반 실천신학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코로나 이후 세계를 위한 기독교교육
- 에큐메니칼 운동에 기초한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기독교 정치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