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세기 후반 실천신학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용수 92
- 영문명
- A Critical Study on the Three Models of Practical Theology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장신근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2집, 25~4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비판적 상관관계신학 유형”(쉐릴, 힐트너, 브라우닝), “해석학적 유형”(그룸, 거킨), “신앙공동체적 형성 유형”(웨스터호프, 켐벨) 등과 같은 20세기 후반에 등장한 실천신학의 대표적인 세 가지 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먼저, 각 유형별로 기독교교육학, 목회상담학, 그리고 설교학 분야에서 2-3명의 대표적 학자를 선별하여 중심 사상을 유형별 특징과 연관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시대적 상황에 대한 응답, 신학과의 관계, 학제적 대화, 그리고 실천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각 유형들에 대한 비판적 평가를 시도하였다.
결론 및 제언 : 각 유형들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실천신학으로서 오늘의 기독교교육의 핵심 과제는 포스트 시대의 여러 도전에 대한 적극적 응답, 오늘의 다양한 신학과의 상호적 대화, 횡단적 합리성에 기초한 학제적 대화, 개인적, 교회적, 사회적, 공적, 생태적, 더 나아가 디지털 차원까지 포괄하는 기독교적 실천 개념의 정립 등임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essay is a critical study of the three models of practical theology that emerged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critical correlational model (Sherrill, Browning), the hermeneutical model (Groome, Gerkin), and the faith community formation model (Westerhoff, Campbell). This essay first explores the central ideas of practical theologians who adhere to each of the three models and focuses on Christian education, pastoral counseling, and homiletics. This essay then critically evaluates the three models in accordance to the following four themes: how practical theology has 1) responded to the challenges of postmodernity, 2) engaged in dialogue with different types of theology, 3) participated in interdisciplinary dialogue, and 4) understood Christian practice. In conclusion, this essay suggests that the essential tasks of contemporary Christian education as practical theology include: 1) providing an active response to many challenges of postmodern, postsecular, postdigital, and posthuman era, 2) engaging in interactive dialogue with diverse forms of theology, and 3) facilitating interdisciplinary dialogue based on transversal rationality, and 4) establishing of the concept of Christian practice at the individual, ecclesial, social, public, ecological, and digital levels.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비판적 상관관계 신학 유형
III. 해석학적 유형
IV. 신앙공동체적 형성 유형
V. 세 가지 유형의 실천신학에 대한 비판적 평가
VI.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간호사를 위한 사례기반학습 및 코티칭 임상실습 교육모형 개발
- 기독교학교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SD)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
- 기독교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 예비 유아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 요인 구성 연구
- 기독교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 박사학위를 소지한 기독교인 시니어의 신앙과 삶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기독교인의 온라인 예배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 연구
- 흥미수준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부모 됨의 의미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
- 유대교 미쉬나 나쉼(Nashim)의 기독교교육을 위한 적용방안
- 어린이 예배에서 ‘이야기식 설교’의 기독교교육적 함의
-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
- 원격 수업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흥미수준에 미치는 영향 탐구
- 20세기 후반 실천신학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코로나 이후 세계를 위한 기독교교육
- 에큐메니칼 운동에 기초한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기독교 정치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