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유아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 요인 구성 연구
이용수 147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Factors in Teaching Compete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철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2집, 183~20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 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을 높이기 위한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인공지능 교육 활용 역량 요인을 구성하는 것이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를 탐색해서 7편의 역량 요인 및 모형과 관련된 연구를 선정하였다. 7편의 선행연구를 분석해서 인공지능의 이해를 포함하여 18개의 역량 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역량 요소는 코딩을 통해서 교과 지식 이해, 수업 준비, 수업 운영, 수업결과 피드백, 수업지도, 자기 계발로 구분되는 6개 영역이 구성되었고, 1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코딩을 통해 구성된 초안은 유아교육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통해서 개선하였다. 전문가 검토를 통해 개선된 요인은 교육과정 편성을 위해 지식, 기능, 태도로 구분하여 구조화하였고, 구조화된 역량 요인은 전문가 델파이를 통해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델파이 검증 결과 1차 설문에서 모든 요소들이 수렴되었다. 이를 통해서 역량 영역 6개, 역량 요인 11개, 역량 요소는 지식이 19개, 기능이 10개, 태도가 5개로 구성되었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역량 요인은 예비 유아 교사들의 인공지능 교육 활용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에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시사점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factors of AI education utilization competency. AI education utilization competency is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to enhance the AI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7 studies related to competency factors and models were selected by searching for previous studies. Seven preceding stud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18 competency factors were extracted, including understand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extracted competency elements were divided into six areas, which are divided into understanding subject knowledge through coding, class preparation, class management, class result feedback, class guidance, and self-development. And 15 factors were constructed. The draft formed through coding was improved through review by three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s. Factors improved through expert review were structured by classifying them into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organize the curriculum. The validity of the structured competency factor was verified through expert Delphi. As a result of the Delphi verification, all factors were converged in the first survey. Through this, 6 competency areas, 11 competency factors, and 19 competency factors were composed of knowledge, 10 skills, and 5 attitudes. The implication is that the competency factors presen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organizing a curriculum to improve the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use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간호사를 위한 사례기반학습 및 코티칭 임상실습 교육모형 개발
- 기독교학교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SD)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
- 기독교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 예비 유아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 요인 구성 연구
- 기독교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 박사학위를 소지한 기독교인 시니어의 신앙과 삶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기독교인의 온라인 예배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 연구
- 흥미수준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부모 됨의 의미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
- 유대교 미쉬나 나쉼(Nashim)의 기독교교육을 위한 적용방안
- 어린이 예배에서 ‘이야기식 설교’의 기독교교육적 함의
-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
- 원격 수업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흥미수준에 미치는 영향 탐구
- 20세기 후반 실천신학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코로나 이후 세계를 위한 기독교교육
- 에큐메니칼 운동에 기초한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기독교 정치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