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 이후 세계를 위한 기독교교육
이용수 76
- 영문명
- Christian Education for the Post-Corona World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유재덕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2집, 7~2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코로나 팬데믹 종식이 본격적으로 거론되는 시점에 이 논문은 팬데믹이 초래한 사회 변화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 그것을 기초로 해서 향후 기독교교육의 방향을 가늠하고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코로나 팬데믹을 거치면서 진행된 사회 전반의 급속한 변화를 다섯 가지 관점, 즉 세계화, 디지털, 불평등, 교육체제, 교회 변화를 중심으로 검토한다(Ⅱ장). 계속해서 코로나 이전에는 전혀 예상할 수 없었던 사회 변화를 충분히 고려해서 팬데믹 이후 세계에 필요한 기독교교육의 향후 방향을 결론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Ⅲ장, Ⅳ장).
결론 및 제언 : 코로나 이후 세계를 위한 기독교교육은 교회의 교육적 사명을 성취하도록 현재 상황을 위기 극복의 계기로 활용해야 한다. 추후 기독교교육은 팬데믹 시대의 사회 변화(지역 중심 세계화, 디지털 전환, 경제 불평등, 교육환경 변화)에 관심을 갖고 성찰하면서 모바일 교회학교, 거점 교회학교, 안전한 교회학교, 생태 교회학교로의 혁신적 전환이 시급하다.
영문 초록
Christian education for the world after COVID-19 needs to use rapid changes in the surrounding situation as an opportunity to overcome a new crisis so that the church can achieve its educational mission. If the biggest dilemma in the post-Corona era is that there is no authoritative educational prescription anywhere, the most reasonable option for church education in this situation is to emphasize and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flexibly cope with rules that are completely different than before COVID-19. As a natural result of the crisis, Christian education needs to be more interested in the trend of social change in the pandemic era(glocalization, digital transformation, economic inequality,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church crisis) and actively reflect its contents in education. In addition, while operating a mobile(or online) church school that combines offline and onlin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n innovative transition to a core church school where certain church schools and churches cooperate with each other, a church school that guarantees a safe learning space, and an ecological church school that is interested in education dealing with climate change and ecolog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코로나 팬데믹과 사회 변화
Ⅲ. 코로나 이후 세계를 위한 기독교교육
Ⅳ.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간호사를 위한 사례기반학습 및 코티칭 임상실습 교육모형 개발
- 기독교학교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SD)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
- 기독교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 예비 유아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 요인 구성 연구
- 기독교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 박사학위를 소지한 기독교인 시니어의 신앙과 삶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기독교인의 온라인 예배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 연구
- 흥미수준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부모 됨의 의미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
- 유대교 미쉬나 나쉼(Nashim)의 기독교교육을 위한 적용방안
- 어린이 예배에서 ‘이야기식 설교’의 기독교교육적 함의
-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
- 원격 수업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흥미수준에 미치는 영향 탐구
- 20세기 후반 실천신학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코로나 이후 세계를 위한 기독교교육
- 에큐메니칼 운동에 기초한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기독교 정치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