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독교학교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SD)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
이용수 96
- 영문명
- A Christian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Christian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홍성수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72집, 273~29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지속 가능한 발전은 성장이라는 현재의 필요만이 아니라 미래 세대의 발전을 침해하지 않는 선에서 현재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이를 위해서는 경제, 환경, 사회통합이 적절히 달성되어야 하며, 이것의 현실화를 위하여 거버넌스가 요구된다. 지속 가능한 발전 교육이란 미래를 위한 교육으로 모든 곳 모든 이들이 소외되지 않고 적합한 교육을 받게 하여 건강한 사회와 성공적인 경제 활동을 향유하게 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속 가능한 발전에 대한 시대적 관심과 필요에 부응하여 기독교학교에서 지향하는 성경적 샬롬 개념이 이러한 개념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그 의미를 대비 분석하고 기독교교육적 적용점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는 먼저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의 출현 배경과 의미를 고찰한다. 그리고 이것의 개념이 교육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되어 왔는지 살펴보면서 특별히 사회통합적 차원에서 정의를 다룬다. 이를 토대로 성경에서 가르치는 샬롬과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을 대비하면서 이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결론 및 제언 : 지속 가능한 발전은 정의와 샬롬을 추구하는 기독교학교 및 기독교교육의 본질적 목표에서 발견된다. 그리스도인은 청지기적 사명으로 타락한 세상에서 회복을 향한 봉사적 사명을 부여 받는다. 기독교학교는 먼저 지적 차원에서 학생들로 기독교적 사고를 하게 하므로 청지기적 사명을 가지고 환경과 경제적 공평과 사회통합을 위해 봉사하게 한다. 또한 기독교학교는 지적 차원을 넘어서 모든 곳 모든 이들에게 번영이 이루어지기까지 정의와 샬롬을 지향하는 실천적 차원을 사명으로 삼는다. 기독교학교는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회복을 통해 정의와 샬롬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을 현실화하는 주요한 교육 기관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기독교학교는 모든 곳 모든 이들을 위한 정의와 샬롬을 추구하므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참된 실천을 수행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Industrial Revolution brought great development to the whole human history by the improvement of productive capacity. However, high speed development absorbed just on growth gave rise to resource depletion attack and economical inequality. If it might be neglected human society will meet unsustainable development situation. So UN has made effort to make sustainable development(SD) through global band together. SD concept considers it important to promote current development not giving damage to next generation’s development. Then economy, environment and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harmonized and it demands governance for its actualization. SD gets to be a matter of common interest in education. New Millenium development Goals make African poor countries that are in blind spots of development advance toward gradual sustainable development by supporting programmes to these countries. Thu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SDE) is for future. It has an aim to give suitable education for all people who are all over the world. SDE tries to make health society and successful economical life for all. The concept of SD is found in the essential aims of Christian school and Christian education seeking justice and shalom. Christians are called as transformers for servant mission giving recover in corrupt world. Firstly, Christian school practise this mission making students think on Christian perspectives. Then it makes students serve for environment, economical fairness, social integration with servant mission. Also Christian school has a mission to seek both justice and shalom as a praxis beyond the intellectual dimension of education until fulfilling justice and shalom for all who are all over the world. Thus it can be that Christian school is an important educational institution for realizing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at it is always to seek justice and shalom through restoration on the Christian educational perspective.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의 등장과 의미
III. 교육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적 적용
IV. 기독교학교에서 지속 가능한 발전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
V.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간호사를 위한 사례기반학습 및 코티칭 임상실습 교육모형 개발
- 기독교학교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SD) 개념의 기독교교육적 적용
- 기독교교육학 연구 동향 분석
- 예비 유아교사들의 인공지능 활용 교육역량 요인 구성 연구
- 기독교대학 인성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 박사학위를 소지한 기독교인 시니어의 신앙과 삶에 관한 질적연구
- 한국 기독교인의 온라인 예배에 대한 경험과 만족도 연구
- 흥미수준에 따른 인지적 실재감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탐색
- 부모 됨의 의미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
- 유대교 미쉬나 나쉼(Nashim)의 기독교교육을 위한 적용방안
- 어린이 예배에서 ‘이야기식 설교’의 기독교교육적 함의
- 지속가능성을 위한 기독교교육
-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생태영성교육
- 원격 수업환경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문제해결력을 매개로 흥미수준에 미치는 영향 탐구
- 20세기 후반 실천신학의 세 가지 유형에 대한 비판적 연구
- 코로나 이후 세계를 위한 기독교교육
- 에큐메니칼 운동에 기초한 사회적 책임을 위한 기독교 정치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