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산스크리트 논서(śāstra) 문헌군 인코딩 표준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55

영문명
A Preliminary Study on Devising an Encoding Standard for Scholastic Sanskrit Literature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함형석(HAM, Hyoung Seok)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73호, 91~1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산스크리트 논서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은 문헌을 독해할 때 문헌에 쓰여진 텍스트의 내용만을 읽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논서’(śāstra)라는 장르가 지닌 고유한 형식적인 양식을 함께 읽으며, 그 형식에 맞추어 문헌을 구조적으로 파악한다. 논서 장르가 갖춘 형식에 대한 독해능력이 없이는 논서의 내용을 이해할 수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TEI(Text Encoding Initiative) 가이드라인은 인문학 분과에서 다루는 문서에 내재한 형식 정보를 디지털화하는 표준안으로 정착하였다. 그리고 인도 문헌 데이터베이스 가운데 하나인 SARIT(Search and Retrieval of Indic Texts)은 TEI의 문법을 어떻게 인도 문헌, 특히 주석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산스크리트 논서를 인코딩하는 데 쓰일 수 있는지를 독자적인 가이드라인을 통해 제시하고 있다. 본고는 SARIT 가이드라인이 권고하는 산스크리트 논서의 형식 정보를 장르, 사본, 출판의 세 가지 차원으로 분석하고, 이 가운데 장르의 차원에는 SARIT이 지적하는 비-문자적 형식 정보뿐 만 아니라 전통적인 인도 지식인들의 머릿속에 관념적으로 존재하였던 논서 장르의 문헌이 갖추어야 할 형식이 존재함을 논한다. 이와 같은 ‘논서’라는 관념적인 형식은 ‘논서’적 글쓰기 스타일을 규율한다는 점에서 비-문자적 형식이 아니라 의미론적 차원에서의 문자적 형식이라 할 수 있다. 이후 본고는 산스크리트 논서 문헌군에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세 종류의 형식을 식별해보며, 그것들을 문헌의 디지털 판본에 메타데이터로 기입해놓을 경우 연구자들에게 어떠한 해석적 지평을 열어줄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한다. 연구자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규정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 과정을 거칠 때 디지털인문학 프로젝트는 이상적인 연구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When reading Sanskrit śāstra literature, scholars do not merely read the contents contained in its text. They also read the formal patterns unique to the genre of śāstra and understand its contents within the context of its formal structure. Without attention to its formal properties, a work of śāstra literature remains unintelligible to its readers. The Text Encoding Initiative (TEI) guideline suggests document encoding standards for humanities scholars, and the Search and Retrieval of Indic Texts (SARIT) project accommodates the TEI guideline to Sanskrit texts, especially those of śāstra.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of the information that the SARIT guideline aims to encode by dividing the formality of śāstra texts into the forms of genre, manuscript, and publication. It then discusses the idea of śāstra that governs and regulates the writing patterns of traditional intellectuals. These patterns are not coded in non-textual devices such as font and line formatting. Instead, they are semantic patterns that are coded in the flow of the contents. In the final section, I observe three general patterns commonly found in the śāstra literature (the sub- categories of the genre, basic commentarial services, and the question-answer mode of discussion) and discuss the benefits of encoding that information in XML files.

목차

Ⅰ. 서 론
Ⅱ. 인코딩의 세 가지 층위와 SARIT 인코딩 가이드라인
Ⅲ. ‘산스크리트 주석서’라는 관념적 양식
Ⅳ. 산스크리트 주석서의 양식과 인코딩의 가능성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함형석(HAM, Hyoung Seok). (2022).산스크리트 논서(śāstra) 문헌군 인코딩 표준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불교학연구, (), 91-116

MLA

함형석(HAM, Hyoung Seok). "산스크리트 논서(śāstra) 문헌군 인코딩 표준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 불교학연구, (2022): 91-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