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사범대학생의 인식과 대응: 사회교육과와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용수 41

영문명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Computer Education Majors
발행기관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저자명
이정우(Jungwoo Lee)
간행물 정보
『현장수업연구』제2권 제1호, 73~9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1.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S대학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 학생과 컴퓨터교육과 학생 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인식과 대응 현황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범대학생들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이미지는 산업혁명과 관련된 기술 자체였으며, 사회교육과 학생의 경우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4차 산업혁명이 미칠 사회적 영향이나 배경, 그에 대한 대비와 관련된 답변 등 다양하고 폭넓은 답변이 제시되었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를 일반인에게 필요한 역량과 중등교사에 필요한 역량으로 나누어 질문한 결과, ‘정보 리터러시’, ‘적응력/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응답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사회교육과 학생은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중등교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해 가치/태도와 관련된 내용을 응답한 비중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셋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본인의 대비에 대한 평가에서 응답자들은 대체로 4차 산업혁명에 대해 대비가 부족하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사회교육과 학생이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대비가 부족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넷째,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역량을 키우는 데 대학교육이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것에 대해서는 모든 항목에서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평균이 높았으며, 특히 전공수업이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한 평균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된 역량을 키우기 위해 대학교육이 어떻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질문한 결과, 컴퓨터교육과에 비해 사회교육과 학생의 비중이 높은 항목은 수업 방법의 개선과 관련된 것이었으며, ‘융합형교육 확대’ 혹은 ‘학과간 칸막이 없애기’와 같은 구조적 문제를 지적한 경우도 있어 컴퓨터교육과 학생에 비해 사회교육과 학생이 대학교육에 더욱 비판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들의 응답에서 4차 산업혁명이 지니고 있는 부정적 요소를 상쇄할 수 있는 교육의 적극적 역할에 주목하거나, 4차 산업혁명이라는 프레임 자체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를 한 경우를 찾아보기는 어려웠다. 이러한 점을 종합하면 사범대학, 특히 사회교육과의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육방법 전반에서 변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a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find out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orty-four students major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33 in computer education participated in this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of education students regard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ICT. Responses from social studies education majors encompassed a wider range of issues including the social impa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s background and the response to it than those from computer education majors. Second, students suggested ‘information literacy’ and ‘fluency’ are required as competencies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think more value/attitude as competencies for the prospective teacher than computer education majoring students. Third, students evaluated themselves as lacking the responses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fact,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think themselves as less prepared than their peers. Fourth, they did not think that education in the college is helpful for their preparation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uter education majoring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and social studies majoring students were more critical than their peers. Most students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active role of education, nor did they bring about a critical view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frame itself.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nstruction, curriculum, pedagogy of college of education should be chang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우(Jungwoo Lee). (2021).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사범대학생의 인식과 대응: 사회교육과와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2 (1), 73-98

MLA

이정우(Jungwoo Lee).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사범대학생의 인식과 대응: 사회교육과와 컴퓨터교육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2.1(2021): 73-9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