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세안 고등교육 이러닝 수준 도구 개발 및 진단
이용수 14
- 영문명
- Diagnosis Tool Development & Verification on Readiness of ASEAN Higher-Ed. Institution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서순식(Soonshik Suh)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1권 제2호, 155~19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7.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아세안(ASEAN) 회원국의 이러닝 준비도 및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고 아세안 각국의 자료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러닝 준비도, 성숙도 등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 및 종합함으로써 이러닝 수준 진단 모형 및 도구를 개발하였다. 2차의 타당화 과정을 거쳐 핵심지표를 수정 및 보완하였고, 아세안 회원국의 교육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대학들을 대상으로 구글폼 온라인 설문과 엑셀파일 형식의 설문 조사를 병행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세안 회원국 10개국의 이러닝 준비도 및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최종 진단 모형은 정책(비전 및 계획, 법 규정, 조직, 예산), 인프라(ICT 접근성, ICT 이용도, ICT 활용능력), 학습자원(디지털 학습자원 및 커리큘럼), 사회·경제·문화적 환경, 이러닝 활용 등 총 5개 영역, 50개 핵심지표로 구성된 진단지표를 개발하였다. 둘째, 아세안 10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고등교육 이러닝 수준 측정을 위한 설문조사의 주요 결과를 각국 이러닝 수준이 명료하게 비교될 수 있는 영역인 인프라, 사회·경제·문화적 환경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 결정 및 운영 과정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의 성공을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정책, ICT 인프라, 학습자원, 사회·경제·문화적 환경, 이러닝 운영현황 등 다양한 영역들이 충분히 통합적, 체제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 설립유형이나 운영방식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각국의 ICT 활용 경향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다(多)국가간 사이버대학의 궁극적인 성공은 ‘교육적 측면’을 얼마나 심도있고 폭넓게 고민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diagnostic model of e-learning preparedness, that is, an evaluation model which is suitable for developing countries including ASEAN countries (Brunei, Cambodia, Indonesia, Laos, Malaysia, Myanmar, Philippines, Singapore, Thailand and Vietnam). For the data collection, both online questionnaire and Microsoft Office Excel files were developed and used for the ASEAN Member Ministry of Education, online and offline universities. In addition, during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e-learning present status of each country, information such as basic infrastructure, digital economy and labor market were collected and actively utilized by UNESCO, the World Bank,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T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al diagnostic model for measuring e-Learning preparedness in 10 ASEAN member countries is composed of 5 constructs including policy (vision and planning, legal regulations, organization, budget), infrastructure (ICT access, ICT use, ICT skills), learning resources (digital learning resources and curriculum), socio-economic & cultural environment, and e-learning utilization, as well as 44 core indicators.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 and socio-economic & cultural environment where e-learning status in 10 ASEAN countries can be clearly compared with each oth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