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태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저항성누설전류(IGR) 결정요인 분석
이용수 14
- 영문명
- Resistive Leakage Current (Igr) Determinant Analysis Using Dynamic Regression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태훈 김영진 민규혁 송동우 임종국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6 No.6, 158~16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체 화재 원인 중 약 26%를 차지하고 있는 전기화재에 있어서 저항성누설전류(IGR)는 감전 및 전기화재와 같은 전기안전사고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oT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된 전기데이터를 활용하여 저항성누설전류(IGR)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정요인들은 전기 요인, 날씨 요인, 건축물 요인으로 나누었으며 전기화재 단계를 위험과 비위험 단계로 나누어 IGR에 대한 영향을 구분하였다. 또한, 과거 시점의 IGR과 현재 시점의 IGR 간의 시차의존적 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IGR 1시차값을 설명변수로 추가한 동태적 회귀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기 요인 중에서는 절연저항의 영향이 가장 컸으며, 영향의 강도는 위험 단계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날씨 요인인 온도와 습도는 유의하였으나 IGR에 대한 영향의 강도는 작게 나타났다. 건물 요인 중 연면적 증가는 IGR을 감소시키는 반면, 높이 증가는 IGR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영향 또한 위험 단계에서 더 컸다. IGR 1시차값은 현재의 IGR을 매우 크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위험 단계보다는 위험단계에서 IGR 1시차값의 영향은 약화되는 반면에 다른 요인변수들의 영향은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험 단계와 비위험 단계로 나누어 화재 확산 및 예후를 파악하는 것이 유용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In electrical fires, resistive leakage current (Igr) is considered as the main cause of electrical safety accidents such as electric shocks and fires. In this study, the determinants of the Igr were empirically analyzed using the electrical data collected in real time using the IoT sensor. An 1 lag Igr value (Igr data 1 h ago) was observed to significantly explain the current Igr.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the 1 lag Igr value was weakened in the risk stage rather than the non-risk stage, whereas the influence of other factor variables was strengthened. This can be regarded as a dangerous sign of an electric fire,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can be used to identify and predict the prognosis of future fir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pread and prognosis of a fire can be understood by dividing it into risk and non-risk stages.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형 콘 칼로리미터 설계를 위한 주요 인자 분석
- 국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실의 온도 기준 개정을 위한 실증 연구
- 고층 공동주택의 평면구조에 따른 연기제어 성능 분석
- 고발포 소화약제 사용 실험에 의한 지하공동구 화재진압방법 연구
- 불활성가스로 희석된 Jet A1-순산소 동축류 확산화염의 점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공기충전기의 필터 수명 연장을 위한 냉각형 수분제거기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시설물의 방호벽 설계 적용을 위한 Open Pool 화염의 복사열 추정
- 합성곱 신경망 기반 분류 모델의 화재 예측 성능 분석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화재확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분해 물성 측정
- 케이블의 화재확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분해 물성 측정
- 장대터널 내 대형화재 발생 시 제연설비 성능 확보를 위한 수치적 연구
- 화재 현장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적극 활용 및 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시설물 내화처리에 따른 소요내화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목차
- 화재모델링을 통한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화재 위험성 분석
- 수소-산소 가연혼합물의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을 위한 스파크 방출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 다양한 직육면체 형상의 PU 폼 화염에서 최대 열방출률과 상관관계를 갖는 매개변수의 검토
- 연돌효과를 이용한 화장실 내 수직샤프트의 배연 타당성에 관한 연구
- 현장조사를 통한 공동주택 공용방화문의 불량요소 및 불량률 도출에 관한 연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비교 분석
- 동태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저항성누설전류(IGR)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