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발포 소화약제 사용 실험에 의한 지하공동구 화재진압방법 연구
이용수 44
- 영문명
- Experiment using High-Expansion Foaming Agent in an Underground Utility Tunnel as a Fire Suppression Method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박준길 이민철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6 No.6, 122~13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실스케일의 지하공동구 실험체를 대상으로 고팽창포 발포실험을 수행하고, 지하공동구 화재 시 고발포 소화약제의 방사⋅발포특성을 이해함으로써 효과적인 화재대응방안을 제시코자 하였다. 한 곳에서 고발포 폼을 발포하였을 경우 포 소화약제 환원시간에 도달하며, 약 4 min 만에 포가 깨어지기 시작하였다. 반면, 실험체의 세 곳에서 고발포 폼 관창을 이용하여 폼을 집중 발포하였을 경우, 650 L의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7 min 만에 실험체를 모두 채울 수 있었다. 또한 셀라관창 실험에서는 관창을 맨홀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방사하는 것보다는 관창을 수평에 가깝게 삽입하여 방사하는 것이 연기 및 열기를 밀어내도록 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 discharging experiment of high-expansion foams at a real-scale experimental underground utility tunnel and proposed an effective fire response plan. The study analyzed the discharge and foaming characteristics of high-expansion foam in the event of an underground utility tunnel fire. When high-expansion foams were injected at one point, foam agents started to break out four minutes after reaching reduction time. Meanwhile, when high-expansion foams were injected at three points, the experimental tunnel was filled entirely after seven minutes using 650 L of extinguishing agent. Moreover, in the cellar nozzle experiment, discharging from a nozzle injected horizontally to a manhole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from a nozzle vertically injected to push smoke and heat.
목차
1. 서론
2. 실험목적 및 방법
3. 실험결과
4. 고발포 소화약제를 활용한 지하공동구 화재진압방안
5. 결론 및 정책적 제언
후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형 콘 칼로리미터 설계를 위한 주요 인자 분석
- 국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실의 온도 기준 개정을 위한 실증 연구
- 고층 공동주택의 평면구조에 따른 연기제어 성능 분석
- 고발포 소화약제 사용 실험에 의한 지하공동구 화재진압방법 연구
- 불활성가스로 희석된 Jet A1-순산소 동축류 확산화염의 점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공기충전기의 필터 수명 연장을 위한 냉각형 수분제거기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시설물의 방호벽 설계 적용을 위한 Open Pool 화염의 복사열 추정
- 합성곱 신경망 기반 분류 모델의 화재 예측 성능 분석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화재확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분해 물성 측정
- 케이블의 화재확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분해 물성 측정
- 장대터널 내 대형화재 발생 시 제연설비 성능 확보를 위한 수치적 연구
- 화재 현장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적극 활용 및 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시설물 내화처리에 따른 소요내화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목차
- 화재모델링을 통한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화재 위험성 분석
- 수소-산소 가연혼합물의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을 위한 스파크 방출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 다양한 직육면체 형상의 PU 폼 화염에서 최대 열방출률과 상관관계를 갖는 매개변수의 검토
- 연돌효과를 이용한 화장실 내 수직샤프트의 배연 타당성에 관한 연구
- 현장조사를 통한 공동주택 공용방화문의 불량요소 및 불량률 도출에 관한 연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비교 분석
- 동태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저항성누설전류(IGR)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