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화재 현장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적극 활용 및 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이용수 45
- 영문명
- Active Utilization and Time Reduction of Connection Pipeline Facilities in Fire Site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장경남 안태회 박우진 백은선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6 No.6, 78~92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화용수 공급을 위해 건물에 설치된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를 빠른 시간 내에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화재층 진압대원에게 소방시설 송수구 설치 위치를 신속히 파악하지 못하여 소화용수 공급을 하지 못하거나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에 대한 방안을 찾기 위함이다. 화재안전기술에서 정하는 소방시설 송수구 설치 위치에 대한 불명확한 규정으로 아파트 측면, 후면 등에 설치되어 일정한 장소에 소방시설 송수구가 설치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이 소방시설 송수구 위치를 빠른 시간 내에 발견하지 못하게 되고, 결국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데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방시설 설치 안내표지」를 아파트 1층 옥내소화전 함 내에 부착토록 하여야 한다. 그리고 소방시설 설치 안내 표지를 옥내소화전함 내 설치토록 화재안전기준에 명문화하여야 한다. 이는 화재 현장에서 소방시설 송수구 위치를 발견하기 어려운 문제와 시간 지연의 문제에 대한 방안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화재층 진압대원에게 빠른 시간 내에 소화용수가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a method of confirming the location of connection water pipe facilities installed in buildings in a short time. The study aimed to help solve failure to supply firefighters with fire extinguishing water or delays because the loc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facility’s water supply could not be timely identified. Owing to unclear regulations on the location of the fire-fighting facility’s water outlet installation as prescribed by the Fire Safety Technology, many apartments install it on the side or back of buildings. Given that the fire-fighting facility’s water outlet is not installed in a certain place, firefighters cannot quickly find the location of the fire facility’s water outlet at fire sites, leading to delays in securing fire extinguishing water. A solution is to attach “firefighting facility installation guide signs” to the indoor fire extinguishing tank on the first floor of apartment buildings. Additionally, the fire safety standards shall be stipulated on the installment of indoor signs indicating the fire-fighting facilities. These solutions can address difficulties in finding fire facility’s water outlet at the fire site and resolve delays. Above all, implementing these can ensure the timely supply of fire extinguishing water to firefighters.
목차
1. 서론
2. 문제점 발굴을 위한 이론적 연구
3. 현장답사를 통한 소방 활동 문제점 고찰
4. 개선방안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형 콘 칼로리미터 설계를 위한 주요 인자 분석
- 국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실의 온도 기준 개정을 위한 실증 연구
- 고층 공동주택의 평면구조에 따른 연기제어 성능 분석
- 고발포 소화약제 사용 실험에 의한 지하공동구 화재진압방법 연구
- 불활성가스로 희석된 Jet A1-순산소 동축류 확산화염의 점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공기충전기의 필터 수명 연장을 위한 냉각형 수분제거기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시설물의 방호벽 설계 적용을 위한 Open Pool 화염의 복사열 추정
- 합성곱 신경망 기반 분류 모델의 화재 예측 성능 분석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화재확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분해 물성 측정
- 케이블의 화재확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분해 물성 측정
- 장대터널 내 대형화재 발생 시 제연설비 성능 확보를 위한 수치적 연구
- 화재 현장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적극 활용 및 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시설물 내화처리에 따른 소요내화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목차
- 화재모델링을 통한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화재 위험성 분석
- 수소-산소 가연혼합물의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을 위한 스파크 방출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 다양한 직육면체 형상의 PU 폼 화염에서 최대 열방출률과 상관관계를 갖는 매개변수의 검토
- 연돌효과를 이용한 화장실 내 수직샤프트의 배연 타당성에 관한 연구
- 현장조사를 통한 공동주택 공용방화문의 불량요소 및 불량률 도출에 관한 연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비교 분석
- 동태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저항성누설전류(IGR)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