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비교 분석
이용수 26
- 영문명
- Comparative Analysis of 119 Ambulance Servic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강경희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6 No.6, 151~15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 경기도의 119 구급 서비스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에 나타난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19 구급 신고 건수를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2019년 1월 20일∼2020년 1월 19일 vs. 2020년 1월 20일∼2021년 1월 19일)을 비교할 때, 694,238건에서 640,938건으로 53,300건 감소하였으며, 일평균 119 구급 신고 건수도 직전 1년간의 1,893.8건에서 1,761.7건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COVID-19 발생 전후 1년간 119 신고 접수로부터 구급차 귀소까지 구급 서비스 시간을 평균으로 보면, 49.12 min에서 55.96 min으로 6.84 min, 중위수로 보면 39 min에서 42 min으로 3 min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현재COVID-19의 전파가 지속되고 있으며, 향후 유사한 감염병의 재현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감염병이 수반된 사고 또는 질병 등을 보다 세분화하고, 광역시도 또는 시군구 기준의 지역 특성과 가계의 소득 특성 등을 반영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감염병의 발생과 지속적 확산 과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119 구급 서비스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emergency ambulance call volume and emergency ambulance time (interval) in Gyeonggi-do,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ambulance call volume to 119 (South Korea's emergency telephone number) decreased by 53,300 from 694,238 in the one-year period of January 20, 2019–January 19, 2020 to 640,938 in January 20, 2020–January 19, 2021. Similarly, the daily average 119 ambulance call volume also decreased from 1,893.8 to 1,761.7 in the same one-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mbulance time from activation to return record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6.84 min from 49.12 min to 55.96 min on average, with a median of 3 min from 39 min to 42 min, for the one-year period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COVID-19. Amid the continued spread of COVID-19 and the high probability of recurrence of a similar pandemic in the future, future research should distinguish between emergency response to accidents and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by reflect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household incom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metropolitan or city, county, and other government units, an effective 119 ambulance service system can be established—one that can respond to the occurrence and continuous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목차
1. 서론
2. 분석 자료 및 방법
3. 분석 결과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형 콘 칼로리미터 설계를 위한 주요 인자 분석
- 국내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실의 온도 기준 개정을 위한 실증 연구
- 고층 공동주택의 평면구조에 따른 연기제어 성능 분석
- 고발포 소화약제 사용 실험에 의한 지하공동구 화재진압방법 연구
- 불활성가스로 희석된 Jet A1-순산소 동축류 확산화염의 점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공기충전기의 필터 수명 연장을 위한 냉각형 수분제거기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시설물의 방호벽 설계 적용을 위한 Open Pool 화염의 복사열 추정
- 합성곱 신경망 기반 분류 모델의 화재 예측 성능 분석
- 스프레이 폴리우레탄 폼의 화재확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분해 물성 측정
- 케이블의 화재확산 시뮬레이션을 위한 열분해 물성 측정
- 장대터널 내 대형화재 발생 시 제연설비 성능 확보를 위한 수치적 연구
- 화재 현장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적극 활용 및 시간 단축에 관한 연구
- 플랜트 시설물 내화처리에 따른 소요내화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6 No.6 목차
- 화재모델링을 통한 석유화학 플랜트 시설물의 화재 위험성 분석
- 수소-산소 가연혼합물의 최소점화에너지 측정을 위한 스파크 방출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 다양한 직육면체 형상의 PU 폼 화염에서 최대 열방출률과 상관관계를 갖는 매개변수의 검토
- 연돌효과를 이용한 화장실 내 수직샤프트의 배연 타당성에 관한 연구
- 현장조사를 통한 공동주택 공용방화문의 불량요소 및 불량률 도출에 관한 연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 전후 119 구급 서비스의 신고 건수와 소요 시간 비교 분석
- 동태적 회귀분석을 이용한 저항성누설전류(IGR) 결정요인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