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공유자전거 이용 패턴 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Social network analysis of usage patterns of a bike-sharing system in Seoul:The perspective of leisure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현지 엄태휘 정남호 남윤재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5호, 137~1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7.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의 유행은 거주지를 벗어나지 않고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고민을 증가시켰으며 비교적 바이러스 감염에 자유로운 자전거 타기가 팬데믹 시대에 적합한 여가 활동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공유자전거의 경우 언제, 어디서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시민의 여가 향유권을 보장하고 시민들이 삶의 영역 안에서 쉽게 여가 활동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여가의 관점에서 공유자전거의 역할을 살펴본 연구는 매우 적으며, 공유자전거를 활용한 여가 활동의 질 향상에 대한 고민도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해 서울시 공유자전거 정류소들의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을 도출하고 여가 목적으로 활용된 서울시 공유자전거의 이용 패턴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정류소의 입지 특성이 각 중심성에 미치는 통계적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중심성 상위 150개 대여소 중 70% 이상의 정류소가 야외 여가 공간인 한강 및 하천과 근접한 정류소이며, 한강 및 하천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중심성 값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공유자전거가 단순한 교통 수단을 넘어 여가 활동을 위한 주요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시민의 여가 경험과 삶의 질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며 공유자전거의 여가적 활용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e COVID-19 pandemic has raised concerns about how people can enjoy leisure in their daily lives. Cycling is recognized as a suitable leisure activity because it is relatively virus-free. Shared bicycles, which are located throughout the city, play an important role in ensuring citizens' right to leisure and allowing them to easily enjoy leisure activities within the confines of their daily lives. However,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that look at the role of shared bicycles in terms of leisure. There are few studies about using shared bicycl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eisure experiences. As a result,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the usage pattern of the shared bicycle used for leisure purposes and verified the statistical influence of the locational property of the stops on each centrality. As a result, we discovered that more than 70% of the top 150 stops in centrality were near the Han River and streams, and the closer the distance to the Han River and streams, the higher the centrality value. This result is statistical proof that shared bicycles are used as a primary mode of leisure activities other than transportation. Based on the findings, we propose that shared bicycle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improving citizens' leisure and quality of life, and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nd managing leisure courses using stops along the Han River and stream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온라인 플랫폼 여행상품 가격할인율에 따른 구매 행동
- 외국인 방문자들의 템플스테이 문화적 체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근대문화유산관광지의 지각된 진정성과 체험 및 실존적 진정성 간영향 관계 분석
- 탄소배출 언론보도가 친환경 관광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시기에 따른 자연 기반 관광의 건강 신념 지각 차이 연구
-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공유자전거 이용 패턴 연구
- [서평] 행복한 시간편집자
- <특별부록> 제92차 국제 관광학술대회 특별세션: (사)한국관광학회 50년 회고와 미래 발전방향 모색
- [편집인의 글] (사)한국관광학회 창립 50주년과 <관광학연구>의 혁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