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정보 탐색을 위한 VR 이용의도의 영향요인
이용수 84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VR for travel information search: A study of VR users in China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왕로 장지현 황영현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6권 제1호, 129~14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1.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은 기존 정보매체와 비교되는 많은 장점을 가진 매체로 인식되고 있으며, 관광분야에서도 관광서비스의 사전경험을 가능하게 만드는 매체로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관광정보 탐색을 위한 정보매체로 VR을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실증 연구를 위해 중국인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2020년 실시하였으며, 총 281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관광정보 탐색을 위한 VR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관광정보 탐색을 위한 VR의 이용의도는 일상생활에서의 VR 이용빈도, 탐색하는 관광정보 별 지각하는 VR의 유용성, 그리고 관광객의 여행성격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정보 별 VR의 유용성과 여행성격의 추가적인 파악은 VR 이용빈도를 이용한 VR 이용의도 예측모델의 설명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관광정보 별 지각하는 VR 유용성의 경우 참여 활동 탐색, 방문할 매력물 탐색, 그리고 여행 목적지 탐색의 경우에 인지하는 VR의 유용성이 이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객 여행성격의 경우는 ‘쇼핑 활동’에 대한 추구 성향이 높아질수록 VR을 이용하여 관광정보를 탐색하려는 의도는 높아졌다. 연구의 결과는 VR 관광컨텐츠의 개발이 참여활동, 방문할 매력물, 여행목적지, 그리고 쇼핑 정보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특히 무형의 관광경험을 전달하기 위한 VR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에 대한 논의와 향 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Virtual Reality(VR) technology is recognized as a new information medium for delivering travel-related information because it can deliver information more efficiently than traditional media. The current study's purpose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VR to tourism information search.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China in June and July 2020 for empirical analysis. By excluding respondents who did not know about VR, a total of 281 cas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VR,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frequency of VR use in daily lif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VR for touristm information search, and travel personality type a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VR for tourism information search. The perceived usefulness of VR for activity, destination, and attraction search positively influences the intention to use VR for tourism information search. People who identify themselves as 'Shopping Sharks' are more likely to use VR to tourism information search.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development of tourism VR content needs to concentrate on activity, destination, attraction, and shopping-related information. The study's limitations are discussed, as well as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국문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간사] 관광지식으로서 『관광학연구』
- 지역사회기반형 관광에서 중간지원조직은 왜 중요한가?
- 문화유산관광지 방문객의 관광동기, 관광제약과 관광만족도, 재방문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세계유산 관광지를 방문한 MZ 세대 관광객의 진정성과 노스탤지어 경험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Bayesian VAR 모형을 이용한 국내 관광 수요의 코로나 영향력 추정
- 관광 소비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국 관광객의 거주 지역별 소비 특성 연구
- 관광정보 탐색을 위한 VR 이용의도의 영향요인
- 항공사의 전략적 CSR 활동 탐색 및 객실승무원의 반응에 미치는 효과
- A conceptual analysis of sustainable tourism using a hybrid model: A case study of Jeju ecotourism
- Budgeting practices of Korean tourist hotels: Comparison of upscale hotels and budget/mid-priced hotels
- [편집인의 글] 관광 연구 패러다임의 확장을 위한 학술지의 역할
- 2022년 1월호 목차, 논문투고안내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