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공사 객실승무원 피로도 상승요인이 감정부조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이용수 17
- 영문명
- Effect of Airline Cabin Crew Fatigue Increase Factors on Emotional Dissonance: Mediating Effect of Flight Stress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표용희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5권 제1호, 175~1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1.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 비행피로도 상승요인과 비행 스트레스 매개변인 그리고 심리적 서비스 저하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보면서, 항공사 객실 승무원 근무환경 이해와 서비스 질 고취를 위한 실무적으로 주요한 결과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대상은 국내 항공사 객실 승무원을 대상으로 2020년 1월∼2020년 5월까지 SNS 매체를 통해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서 453부를 최종 연구대상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살펴보면, 항공사 객실 승무원 비행피로도 상승요인과 비행 스트레스 매개변인 그리고 심리적 서비스 저하요인간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정적(+)인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를 통해 첫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비행 피로도 상승요인인 노선적 요인, 물리적 요인, 인적 요인, 돌발 요인은 비행 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비행스트레스는 심리적 서비스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이 연구의 주요변인인 항공사 객실 승무원 비행피로도 상승요인과 비행 스트레스 매개변인 그리고 심리적 서비스 저하요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이들의 비행피로도 상승요인과 비행 스트레스는 심리적 서비스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항공사 객실 승무원과 같은 서비스 종사자의 경우, 고객의 부적절한 서비스 요구 요건과 이들에게 내재된 조직 규범간의 괴리에서 감정부조화를 경험함을 판단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밝힌 항공사 객실 승무원의 비행 스트레스 요인과 심리적 저하와의 관계에 관한 현재 시점 이 두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고 있는 선행연구가 부재한 시점에서 좋은 시사점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working environment of airline cabin crew and enhance service quality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ight fatigue and psychological service degradation factors, and flight stress as a moderating variable. A conveinence sample of 453 cases were analyze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domestic airlines' cabin crews who were recruited through SNS, from Jan. 2020~May 2020.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light fatigue increase and psychological service degradation factors, and flight stres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route, physical, human, and unexpected factors increasing flight fatigue of cabin crews have a positive effect on flight stress. It was also found that flight stress affects psychological service degradation, an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igue increase and psychological service degradation factors, and stress moderator, it was found that fatigue increase factors and flight stress affect psychological service degrad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service worker, such as airline cabin crew experience emotional dissonance due to the customers' improper service requirements and the organizational norms. This study is an initial inquiry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bin crew's flight stress factors and psychological declin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