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관광자원론의 정체성과 지향점

이용수 26

영문명
Identity and Direction of Tourism Resource Theories as a Sub Field of Tourism Science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김남조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4권 제7호, 9~3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10.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학계에서는 관광자원론을 주요한 교과목으로 구성하여 강의하여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 이론과 방법론을 발전시키지 못했다. 이에, 이 연구는 문헌연구법으로 한국에서 출간된 관광자원론을 검토하였으며, 해외 주요대학에서의 관광자원론과 관련된 교과목과 관련문헌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관광자원에 대한 의미, 관광자원론의 변화, 관광자원론과 관광지리학 비교, 관광자원론의 연구방법, 관광자원론의 구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한국에서의 관광자원론은 관광학이 태동할 때 참여한 다수의 지리학전공자들의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관광자원론은 상당부분 관광지리학의 구성체계와 연구방법을 반영한 경향이 있다. 현재 한국의 많은 대학에서 관광자원론을 관광학의 중요 교과목으로 인정하고 교육하고 있다. 그러나 서구의 대학들은 관광자원관리의 측면에서 관광자원론과 관련된 내용을 다룰 뿐 한국과 동일한 내용으로 다루지는 않는다. 이 연구에서는 관광자원론이 하나의 관광학이론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사회과학적인 접근방법과 지리학의 학문적 체계를 적용하는 학제적 접근방법을 적극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관광자원은 이용의 주체인 관광자와 지역주민의 효용을 위해 계획되고 개발되고 관리됨으로써 비로소 관광자원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관광자원에 대한 평가는 관광자원에 대한 계획·개발·관리를 모니터링하는데 유용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에서는 관광자원론의 구성을 크게 ⅰ) 관광자원이론 ⅱ) 관광자원계획 ⅲ) 관광자원개발 ⅳ) 관광자원평가로 구분하여 그 체계를 정립하자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한국에서 관광자원론이 어떤 주제, 연구대상 및 범위, 연구방법으로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관광자원론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정립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is current study offers a review of tourism resource theorie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through a document review research approach. From this review,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meaning of tourism resources, tourism resource theory changes, comparison of tourism resource theory and tourism geography, research methods in tourism resource theory, and tourism resource theory composition. In this study,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for tourism resource theory to fit into the overarching domain of tourism theory, it is necessary to actively accept the social science approach as well as academic approach used in tourism geography. 'Tourism resources' becomes meaningful as tourism resources are planned, developed and managed for the utilization of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who the main users. Evaluation of tourism resources can be useful for monitoring planning,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tourism resources.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the field of tourism resource theory should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subsections: i) tourism resource theory ii) tourism resource planning iii)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iv) tourism resource management v) tourism resource evaluation. By doing so, greater insight into the topics, subjects and scope of its research, as well as how tourism resource theory might better be implemented as a subject of study, can ultimately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future direction of tourism resource theory.

목차

Ⅰ. 서론
Ⅱ. 관광자원론의 개념화와 교육: 성찰적 관점
Ⅲ. 관광자원론과 관광지리학의 관계
Ⅳ. 관광자원론의 연구방법
Ⅴ. 관광자원론의 구성
Ⅵ.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남조. (2020).관광자원론의 정체성과 지향점. 관광학연구, 44 (7), 9-33

MLA

김남조. "관광자원론의 정체성과 지향점." 관광학연구, 44.7(2020): 9-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