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및 활용 인식, 장소애착심,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36
- 영문명
-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ce Attachment, and Attitude toward Cultural Heritage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성조 김재학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3권 제5호, 29~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7.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및 활용 인식, 장소애착심,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와 인지적 태도의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자료는 청주문화재야행이 진행되는 동안 문화유산을 방문해 설문조사를 마친 총 3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해 변수 간의 관계와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및 활용 인식은 장소애착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장소애착심은 인지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행위적 태도는 장소의존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지적 태도는 장소정체성과 행위적 태도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의 효과를 보이는 동안 장소의존성과 행위적 태도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및 활용 인식은 장소애착심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장소애착심은 태도형성의 선행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검증된 변수들은 포괄적인 문화유산 정책과 관리를 위해 중요하게 고려될 수 있는 요인으로서 시사 하는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문화유산을 위한 학술적 실용적 시사점과 제언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ption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lace attachment, attitud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attitude in cultural heritage. A total of 331 respondents who visited the cultural heritage sites during Cultural Heritage Yahaeng completed a survey in Cheongju,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then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nd effects among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erception of cultural heritage positively influenced place attachment and place attachment positively influenced cognitive attitude. However, behavioral attitude was influenced by only place dependence. On the other hand, cognitive attitude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identity and behavioral attitude, while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dependence and behavioral attitud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both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perception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lace attachment and place attachment also could be an antecedent of attitude form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imply that those of tested variables are important factors in considering comprehensive cultural heritage policy and management. Based on these result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sustainable cultural heritage a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도시관광지 지역주민과 관광객 간 갈등과 투어리즘 포비아에 관한 연구
- 의료관광 선택 결정 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 한국과 미국의 국립공원 해설사 교육훈련 체계의 역사적 변천과정과 그 요인
- 관광정책 결정지원을 위한 의사결정나무분석의 적용
- 호텔직원의 블록체인 기반 호텔예약시스템 수용의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장소 애착도에 영향을 미치는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역할
- 테마파크 서비스품질이 방문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유산에 대한 보존 및 활용 인식, 장소애착심, 태도 간의 구조적 관계
- 관광산업 경제효과 보고서의 공정성에 대한 비판적 평가
- 지방정부 관광정책사업의 순응과정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