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고기 식용문화는 야만적인가, 아니면 한국 고유 음식문화인가에 대한 문화상대론적 논의

이용수 216

영문명
Is Dog-eating Culture a Barbarous Behavior or a Korean Traditional Food Culture: From the Cultural Relativism View Point
발행기관
한국관광학회
저자명
박종구
간행물 정보
『관광학연구』제41권 제10호, 217~23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관광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개고기 식용문화는 문화가 아니라, 야만적 행위이다’ 라는 견해에 대한 찬반여부를 국제여론을 중시하는 그룹과 전통 고유 음식문화로 보는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하는 한편 개고기 식용문화에 반대하는 영향요인 등을 밝히고자 한다. 문화관광 체험형 재래시장 방문객 중 편의추출방식을 통해 추출한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방법은 개고기 식용문화에 대한 그룹별 연관성 분석은 Chi-square 분석을, 개고기 식용문화에 대한 야만/고유문화로 인식하는 그룹 간 차이분석 및 해외 개고기 식용문화에 대한 동의와 반대 그룹 간 차이분석은 t 분석을, 개고기 식용문화 반대여부에 미치는 영향정도는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성이, 고졸이하가, 종교가 없는 그룹이, 동물보다 사람우선, 육식의 선호, 서구의 논리에 반대하는 그룹이 개고기 식용문화를 수용하는 ‘개가 어때서’에서 p<.05 수준에서 찬성비율이 높았다. 또한 ‘보신탕도 우리 고유의 음식문화이기에 보존하여야 한다’라는 항목에서는 문화고유성을 가진 그룹이 ‘국제여론을 무시할 수 없다’라고 인식하는 그룹 보다 개고기 식용문화에 대한 찬성비율이 높았다. 결과적으로 개고기 식용문화를 서양문화의 야만행위, 미개행위적로서 외국인의 견해를 맹목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지만 개고기 도축과정상의 야만적, 비위생적인 도축과정 등도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ere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for dog-eating culture and to identify a difference between two distinct groups; one group of people who supports the argument that dog-eating is a barbarous food culture and the other one who believes that dog-eating is a part of traditional culture that imbedded for a long time. Data was collected in a traditional market. Randomly selected 170 touris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Chi-square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tiliz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ho were male, high school diploma or less, no religion, human priority, meat-preference diet, and against Western culture tended to accept dog-eating culture (p<.05). In addition, the survey item of “Boshin Tang (dog-meat soup) is part of traditional food culture so it should be kept.” revealed that those who support the traditional uniqueness tended to accept the dog-eating culture compared to those who support the international movement (against dog-eating). This study concluded that many participants who support dog-eating culture believed that they were not willing to blindly follow the foreign opinion against dog-eating culture but they recognized the need for better treatment for slaughtering process and sanitary issu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 및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구. (2017).개고기 식용문화는 야만적인가, 아니면 한국 고유 음식문화인가에 대한 문화상대론적 논의. 관광학연구, 41 (10), 217-234

MLA

박종구. "개고기 식용문화는 야만적인가, 아니면 한국 고유 음식문화인가에 대한 문화상대론적 논의." 관광학연구, 41.10(2017): 217-2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