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관광지 이미지 구성요인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이용수 65
- 영문명
- A Study of Destination Image and Measurement Using Text Mining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심영석 김홍범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0권 제7호, 221~2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관광객들이 직접적으로 인식하는 관광지 이미지를 밝히기 위해 관광정보를 제공하는 주요 매체인 온라인 여행커뮤니티의 리뷰데이터를 분석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글로벌 여행커뮤니티인 트립어드바이저닷컴(Tripadvisor.com)으로부터 서울의 관광지를 방문하고 작성한 외국인 관광객들의 온라인 리뷰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였다. 특히, 수집된 질적 데이터인 온라인 리뷰를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TF-IDF 가중치 산출법을 이용하여 분석 가능한 양적 데이터의 형태로 변환하여 관광지 이미지 구성요인을 도출하였으며, 관광지 유형에 따른 관광지 이미지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관광지의 인지적 이미지에 해당하는 8개의 요인과 정서적 이미지에 해당하는 8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도출된 관광지 이미지는 관광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질적 데이터인 온라인 리뷰데이터를 추출하고 가공하여 정량적 분석을 체계화 시키는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터넷과 모바일을 통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빅 데이터를 관광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mponents of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its measurement through travelers’ on-line review data using a well-known travel site, and to withdraw implications for constructing a competitive destination image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tourist destinations. In order to extract lively and realistic information from travelers about destination image, this study collected travelers’ reviews on a travel community website, and analyzed them using the text miming approach. This is an appropriate analytic method for examining qualitative data from SNS and Big Data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Web 2.0. A web craw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the appropriate samples and to analyze travelers’ opinion data from the selected travel community website, Tripadvisor.com. The collected data of qualitative information from travelers’ online reviews was converted into a quantitative form that was available for statistical analysis using text mining and TF-IDF(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he result showed that identifying the travelers’s perceived image of tourist destinations using reviews from online travel community would be a useful approach to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ourist destinations’ image and developing competi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destinations. Another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quantitative analysis by extracting and processing the data from an online review that is basically qualitative data. Finally, this study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to apply Big Data in the tourism field, which increases exponentially on the internet and mobile environment through the advancement of travelers’ information technolog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리얼리티 프로그램 <꽃보다 할배> 장년층 수용자의 노년여가인식에 관한 연구
- 레스토랑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콘텐츠의 유형에 따른 정보 가치, 정보 감각, 사전지식의 역할에 대한 연구
- 미로공원 방문객의 내재적 동기, 플로우 및 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호텔웨딩연회장 선택속성, 기업신뢰, 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전남지역 중저가 숙박시설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항공사 기내 물리적,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 충성에 미치는 영향
- 베이커리 카페의 고객가치가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슬로시티 관광자원화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
- 의료관광 활성화 정책의 문제점과 정책적 대응에 관한 시론적 연구
- 문화차이와 국제관광수요
- 레저승마 활성화를 위한 전략적 우선순위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관광지 이미지 구성요인 및 측정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