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브랜드 개성에 따른 디저트 카페의 포지셔닝 분석
이용수 37
- 영문명
- Positioning Analysis of Dessert Cafe based on Brand Personality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조시영 전재균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40권 제4호, 29~4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최근 젊은 여성층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디저트 카페를 대상으로 브랜드 포지셔닝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소비자가 브랜드를 선택할 때는 소비자의 이미지와 일치하는 브랜드 개성을 가진 디저트 카페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디저트 카페 브랜드의 경쟁관계를 파악하였다. 포지셔닝전략은 디저트 카페의 마케팅 성공을 위한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설문조사는 인지도를 기준으로 설빙, 콩꼬물, 투더 디퍼런트, 망고식스, 공차, 눈꽃마녀, 백설공주의 7개 브랜드를 대상으로 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유효표본 총 24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유사성 자료를 다차원척도법으로 분석한 결과 콩꼬물과 설빙, 망고식스와 투더디프런트, 눈꽃마녀와 백설공주는 서로 가까이 위치하여 경쟁이 치열한 관계로 나타났다. 브랜드 개성에 따른 속성벡터를 분석한 결과 ‘매력적인’ ‘활동적인’을 나타내는 브랜드 개성은 백설공주와 눈꽃마녀가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속성벡터를 분석한 결과 ‘젊은’, ‘성공적인’, ‘전문적인’의 브랜드 개성은 설빙과 콩꼬물이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추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dapted multidimensional scale analysis to explore how consumers position dessert cafe brands according to brand personality. A position strategy that establishes competitive advantage is critical for the marketing success of a franchise brand. This study has produced perceptual maps showing the locations of dessert cafe brand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40 dessert cafe consumers in Busan. A self-completion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brand similarity, brand personality and brand preference. The results of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show that Sealbing & Kong Kkomul, Mango Six & To The Different, Wicked Snow & Baekseol Gongju were highly competitive with each other as can be seen by their close proximity in the perceptual map. The vector map for all respondents indicated that Baekseol Gongju and Wiched Snow had the strongest positioning based on ‘attractive’ and ‘active’ characteristics. On the other hand, the vector map for female respondents indicated that Sealbing and Kong Kkomul had the strongest positioning according to brand personality based on ‘young’, ‘successful’, ‘professional’. This study provides a useful implication for competitiveness among seven brand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비스 팀 구성에 따른 서비스 품질
- 브랜드 개성에 따른 디저트 카페의 포지셔닝 분석
- 커피전문점의 분위기 자극과 고객이 지각하는 분위기, 서비스, 즐거움, 그리고 만족
- 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감정반응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 와인 브랜드에 대한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고용형태에 따른 한식당 물리적 환경이 내적반응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호텔접객종사원의 고객관계스트레스와 직장행복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호텔 고객 접점 직원의 직무크래프팅과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에 관한 구조적 영향 관계
- 카지노 전문모집인 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
- 크루즈관광 충성의도 형성에 관한 연구
- 축산물 명품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 템플스테이 체험이 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