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령자 1인가구 주거공간의 환경요인개선 우선순위 분석

이용수 33

영문명
An analysis on the priority of improving environmental factors in residential spaces for single-person elderly households
발행기관
한국부동산융복합학회
저자명
반승주(Ban, Seoung Ju) 정희남(Jung, Hee Nam) 김재태(Kim, Jae Tae)
간행물 정보
『부동산융복합연구』제1권 제2호, 81~9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6.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택개량 및 보수 등이 필요한 노후 주택에 대한 주거환경의 질을 효과적으로향상시키기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하는 환경요인은 무엇인지, 그 순위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2018년 조사된 주거실태조사를 이용하여 건축연도가 20년초과된 주택에서 혼자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주거환경요소의 개선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주택상태의 양호정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하였으며, 전반적인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각 환경요인의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환경요인의 중요도와 주택만족정도를표준화시키고, 표준화된 중요도와 만족도의 표준지수를 결합하여 개선우선순위의 표준지수를산출하여 우선순위를 정하였다. 분석결과, 주택환경 및 주거만족도는 주택유형(단독주택과 공동주택)에 따라 차이가 있는것으로 분석되었고,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주택환경요인들 중 “집의 구조물”에 대한 중요도는주택유형에 상관없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다른 환경요인들은 주택유형에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와 같은 분석의 결과로 주거환경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순하게 주택상태나 만족정도에 따라 개선행위를 하는 것보다는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중요도를 함께 고려하여 개선우선순위를 파악하고, 그 순위를 적용한 개량 및 보수 등의 개선행위를 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수도권에 택지의 부족과 각종 규제로 신축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어렵고, 노후화된 주택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주거환경개선우선순위에 대한 연구는 의미가 있으며,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각 환경요인의중요도와 만족도를 함께 고려한 분석은 학술적, 실무적으로도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연구는 수도권 거주의 가구만을 대상으로 전체 가구를 대표할 수 없다는 한계점으로, 향후 연구에서는 각 지역권역별 다양한 비교분석을 통해 고령자 1인가구의 주거환경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는 또 하나의 주요한 연구 과제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improved first and what the ranking should be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n old houses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repaired. For the study, it was conducted on senior citizens aged 65 older who live alone in a house with a building year of more than 20 years.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residential satisfaction was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degree of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derived and the degree of housing satisfaction were standardized. The standardize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as combined to calculate the standard index of improvement priority and prioritized.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considering the degree of importance of environmental factors to residential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i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an simply applying housing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nly. The priority study on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meaningful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old houses is being emphasized because of the lack of hous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various regulations making it difficult to build, rebuild, and redevelo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1. 고령자 1인가구 개념 및 현황
2.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설계
1. 분석방법과 분석자료
2. 변수의 선정 및 정의
Ⅳ. 실증분석
1. 표본의 특성
2. 주거환경요인의 중요도평가 및 표준화지수
3. 주거환경요인의 만족도평가 및 표준화지수
4. 주거환경요인의 개선우선순위 평가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반승주(Ban, Seoung Ju),정희남(Jung, Hee Nam),김재태(Kim, Jae Tae). (2021).고령자 1인가구 주거공간의 환경요인개선 우선순위 분석. 부동산융복합연구, 1 (2), 81-99

MLA

반승주(Ban, Seoung Ju),정희남(Jung, Hee Nam),김재태(Kim, Jae Tae). "고령자 1인가구 주거공간의 환경요인개선 우선순위 분석." 부동산융복합연구, 1.2(2021): 81-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