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in Higher Education
이용수 64
- 영문명
- 국내 대학 교육 인증제 관련 연구의 체계적 문헌 고찰: 자체교육인증제를 중심으로
-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선희
- 간행물 정보
- 『인문사회과학연구』제65권 제4호, 53~84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대학의 자체교육인증제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향후 자체교육인증제 운영을 위한 시사점 및 연구의 방향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표 달성을 위하여 두 가지 연구문제 즉, 국내 자체교육인증 관련 연구의 일반적 특징(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별)과 구체적 특징(인증대상별 주요 연구방법 및 키워드, 제안내용)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체계적 문헌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전에 정의된 포함·배제 기준에 따라 논문을 선정하고, 분석기준에 맞춰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체교육인증 관련 연구는 현장에서 인증제가 실행되고 있는 것에 비해 연구결과물의 수가 매우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근 2년간 연구 논문수가 급증하였다. 초기에는 독서 인증제나 인성인증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최근에는 전공이나 교과목, 비교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비교과의 경우 다양한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그 외 인증은 주로 타 대학 운영 사례를 분석하거나 집단 간 인식차이를 비교한 연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구체적인 특징을 살펴본 결과 인증대상별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주요 이슈는 첫째, 인증제 운영(또는 도입)을 위해서는 사전 준비(평가지표 개발, 각종 양식, 참여자 대상 설명회, 평가자 및 피평가자 대상 교육, 관련 규정과 인증혜택 마련 등)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과 둘째, 인증제 참여에 따른 행정업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중요함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인증제가 구성원의 피로도를 높이는 부정적인 요소로 인식되는 것이 아닌, 인증제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고 현장에 효과적으로 안착하기 위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for the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by analyzing the research related to the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in higher educa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what 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by year, accreditation subject, research method), what are specific characteristics (main research methods and keywords for each accreditation subject, result and suggestions) of domestic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methods were applied to conduct th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research was ver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field-based accreditation system, but in the past two years, the number of that related to the major curriculum, subject,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have increased rapidly, and most of the research related to accreditation system for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published, and it was conducted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The main issues commonly found are that, first, for the operation (or introduction) of the accreditation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prepare in advanc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various forms, workshop for participants, provision of related regulations and accreditation benefits, etc.) Second, it was found that it was important to prepare a plan to minimize administrative and paperwork related to participation in the certification system. Finally, a research direction was proposed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rather than being perceived as a negative factor that increases employee fatigue, and effectively settle in the field.
목차
I. Introduction
II. Method
III. Results
IV. Conclusion
Referenc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Need for Inter-Korean Energy Cooperation from A Comprehensive Security Perspective
-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Internal Accreditation System in Higher Education
- Aid for Trade and Economic Upgrading : the Cases of Apparel GVCs in Cambodia, Bangladesh, and Turkey
- Autoethnography Research on the Academic Growth of Ph.D. Students in Humanities Convergence Therapy
-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nd Status of Seongbulsa Buddhist Temple in Gwangyang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