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측성 협응 운동과 시지각 훈련을 병행한 전정-고유감각 활동이 학령전기 발달 지연 아동의 감각통합기능 및 운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43
- 영문명
-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y on Sensory Integration and Motor Development in Pre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 발행기관
- 한국인지운동치료협회
- 저자명
- 이창중(Chang-Joong Lee) 안시내(Si-Nae Ahn)
- 간행물 정보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제14권 제1호, 57~6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재활의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양측성 협응 운동과 시지각 훈련을 병행한 전정-고유감각활동이 감각통합기능 및 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발달지연이 있는 남자 아동 2명에 대한사례보고이다. 총 연구 진행은 16회기로 실시하였으며, 초기평가 및 재평가 단계에서는 감각프로파일(Sensory Profile), 운동 적합성 검사(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 2), 캐나다 작업수행 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으로 대상자의 감각통합기능과 운동발달을 평가하였다. 중재 기간에는 양측성 협응 운동과 시지각 훈련을병행한 전정-고유감각 활동을 40분씩 교대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의 분석은 각 대상자의 초기평가와 재평가 결과의차이 값을 비교하였다.
결과: 중재의 전과 후의 감각통합 기능 및 운동 발달의결과를 분석하였을 때, 감각프로파일에서 첫 번째 대상자는 7개 영역에서 개선이 되었으며, 두 번째 대상자는 4개의영역에서 개선되었다. 운동 적합성 검사에서는 첫 번째 대상자는 9개 영역에서 개선이 되었으며, 두 번째 대상자는10개의 영역이 향상하였다.
결론: 학령전기 발달 지연 아동을 대상으로 양측성 협응운동과 시지각 훈련을 병행한 전정-고유감각 활동이 감각통합기능 및 운동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bining vestibular-proprioceptive activities, bilateral coordination exercises,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on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motor development in pre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This study is a case report of two mal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was conducted over 16 sessions. In the initial evaluation and re-evaluation, the patients underwent a sensory profile, a motor fitness test (Bruininks-Oseretsky test of Motor Proficiency-2), and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Both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motor development were evaluated.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vestibular-proprioceptive activities were alternately combined with bilateral coordination exercises or visual perception training and performed for 40 minutes each. The differences between the initial evaluation and re-evaluation results of each patient were analyzed.
When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motor development resul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ere compared, the first patient demonstrated improvement in seven areas and the second in four areas in the sensory profile. In the exercise fitness test, both patients demonstrated improved scores in all areas. Thus, it was confirmed that vestibular-proprioceptive activities, when combined with bilateral coordination exercise and visual perception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motor development for preschool-ag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 찰
Ⅴ. 결 론
Ⅵ. 요 약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신경인지재활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목차
- 뇌졸중 환자의 단속성 안구운동 훈련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지속적인 역할 제공 및 활동 참여가 지역사회 치매환자의 우울수준,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 상지 로봇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 발달지연 아동의 고유수용성 감각 기반 치료 활동이 감각처리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사례 연구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노인를 위한 신중년의 인지활동 경험 분석
- 양측성 협응 운동과 시지각 훈련을 병행한 전정-고유감각 활동이 학령전기 발달 지연 아동의 감각통합기능 및 운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계속 거주 노인의 임상특징과 신체 자기효능감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BEST
- 전정-고유감각을 중심으로 한 감각통합치료와 가정프로그램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작업수행도, 운동·자세기술, 시운동 통합에 미치는 영향
- 양측성 협응 운동과 시지각 훈련을 병행한 전정-고유감각 활동이 학령전기 발달 지연 아동의 감각통합기능 및 운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 국내 노인 여가활동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
의약학 > 재활의학분야 NEW
- Effect of 4 Weeks of Pilates Exercise in Women using Light LED EMG Feedback System on Posture and Balanc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Isolated Bilateral Midbrain Infarction in A Healthy Female Adolescent: A Case Report
- The Effect of Posteroanterior Joint Mobilization Applied to The 3rd Lumbar Vertebra Movement of Adjacent Segmental in Healthy Individual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