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6장 정약용의 도덕교육관과 현재적 실천의미

이용수 48

영문명
The Jung Yak Yong’s viewpoint on moral education and the present application meaning
발행기관
한국민족사상학회
저자명
이종흔
간행물 정보
『민족사상』제11권 제2호, 169~20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약용은 도덕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저 멀리 형이상의 본체에 두지 않고 가까이 자신의 嗜好에서 찾았다. 먼저, 理와 氣, 善과 惡에 대한 성리학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정약용이 추구한 도덕교육이 무엇이었는 지를 고찰하였다. 정약용은 理의 형상보다는 氣의 현상의 도덕교육에 집중하였다. 주희가 理의 형상에 氣의 현상을 종속시킴으로서 객체 중심적 도덕교육으로 나아갔다면 정약용은 理를 현상의 특성으로 다시 정의하고 氣에 의거한 도덕교육을 지향하였다. 理와 氣가 우주론적인 본체론적 입론의 근간이 된다면 善과 惡은 현상론적인 心性的고찰의 골격이 된다. 다음으로, 정약용은 경향성의 주체적 경험을 중시했으며, 객관의 이념적 도덕성을 보다는 주관의 정서적 도덕감을 추구하였다. 또한 객관적 도덕원리를 준거로 삼아 행위 하기보다는 주체적 판단에 의거한 도덕실천을 강조하였다. 이 점을 性嗜好와 自主之權의 개념에 의거해 고찰하였다. 끝으로 정약용의 도덕교육관이 가지는 현실적인 실천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는 성리학적 도덕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살아있는 실제적 교육을 지향했다. 구체적으로 理氣를 비판하고 血과 氣에 의거한 주체적 도덕교육을 주장하였다. 선험적 객관도덕을 추구하기보다는 자신에 충실하고 현실적 삶의 각 단계에 성심을 다하도록 하는 도덕교육을 추구하였다.

영문 초록

Jung Yak Yong had sought the theoretical ground of a moral education not on that far metaphysics but on his preference. closely. Firstly, I investigated what is the Jung Yak Yong’s viewpoint on moral education on a comparative analysis to neo-confucianism about li and qi, good and bad. Jung Yak Yong had focused on moral education based on qi(氣) rather than li(理). Zhu Xi had directed to the objective centered moral education by following a phenomenon of qi(氣) to the form of li(理). On the contrary, he had gone to the moral education based on a phenomenon of qi(氣) by redefining li(理) as a phenomenon. Li(理) and qi(氣) are a foundation on discussing an universal substance, while good and bad are a framework for electing mind form based on a phenomenon theory. Secondly, Jung Yak Yong had considered importantly a subjective experience like a tendency, and an emotional moral feeling rather than an objective ideal moral. He had emphasized on a moral praxis on a subjective judgement rather than an objective moral principal. He established these points on a personal tendency and an autonomous right. Lastly, I investigated the realistic meaning revealed in the Jung Yak Yong’s viewpoint on moral education. He had pursued the real living moral education by overcoming the limits of a neo-confucian moral education. In detail, he had proposed the subjective moral education on blood and qi(氣) by criticizing li(理) and qi(氣). He had pursued the moral education full of the real living life rather than the transcendental objective moral.

목차

Ⅰ. 서론
Ⅱ. 도덕교육의 근간
Ⅲ. 도덕교육의 내용
Ⅳ. 현재적 실천 의미와 타당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종흔. (2017).제6장 정약용의 도덕교육관과 현재적 실천의미. 민족사상, 11 (2), 169-204

MLA

이종흔. "제6장 정약용의 도덕교육관과 현재적 실천의미." 민족사상, 11.2(2017): 169-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